출처-[세계일보 2007-03-16 08:48]
우리나라 성인 5~6명중의 1명은 알레르기 질환이지만 심한 몇몇을 제외하고는 자신이 알레르기 환자라는 것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 가운데 알레르기 증상이 감기와 흡사해 감기로 오인을 하고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들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봄철에 재채기와 콧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감기인지 알레르기 질환인지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감기와 알레르기 비염, 축농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Q :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은?
A :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에는 맑은 콧물, 코 막힘, 재채기, 가려움증이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들은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코를 푸는 습관이 있는데, 이는 기상 직후에 맑은 콧물이 가장 심하기 때문이다. 오후가 되면 콧물이 다소 잦아들다가 다음 날 아침이 되면 다시 심해지는 증상이 반복된다. 코가 가려워서 코를 긁는 버릇이 생기기도 하는데, 코뿐만 아니라 눈과 목, 귀에서도 가려움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Q : 증상만 보면 감기와 비슷하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A : 분명히 알레르기성 비염의 시작은 감기지만 알레르기성 비염은 콧물과 재채기가 난다는 것 외에는 감기와는 달리 발열과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 한 공통적인 증상인 콧물 역시 감기라면 2~3일 내에 멎게 된다. 만약 1주일이 지 나도 콧물이 멎지 않는다면 알레르기성 비염을 의심할 수 있다.
Q : 알레르기성 비염과 축농증은 어떻게 다른지?
A : 알레르기성 비염이 심해지면 축농증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맑은 콧물이 나는 알레르기성 비염에 비해 축농증은 누런 콧물이 나면서 코가 막힌다는 것이 큰 차이이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알레르기가 주요인이다. 즉, 어떤 물질 및 온도와 같은 외부 변화에 내 몸이 과민하게 반응해 코에서 분비물이 많아진 것이지만 축농증은 안면 부위에 비어 있는 뼈 속에 농이 찬 것이다.
Q : 알레르기성 비염도 예방할 수 있나?
A : 환경 관리에 주의하면 알레르기성 비염 재발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모든 종류의 자극에 의해 코가 예민해질 수 있기 때문에 찬 공 기와 갑작스런 온도변화, 담배연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냄새가 강한 화장품이 나 방향제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진 것으로는 집 먼지 진드기가 있다. 따라서 집 먼지 진드기가 주로 서식하는 이불, 베개, 소파, 카펫 등은 자주 빨아주고 햇빛에 말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Q : 알레르기성 비염도 유전되나?
A : 부모 중 어느 한 명이 알레르기성 비염을 앓고 있으면 자녀에게 유전될 확률은 50% 이상이다. 이 밖에도 대기 중 공해물질과 꽃가루, 집 먼지 진드기, 먼지, 곰팡이, 애완동물 털과 비듬 등도 알레르기성 비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지나친 스트레스로 인해 면역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알레르기성 비염이 올 수도 있다.
■ 봄철 비염 예방법
1. 하루에 물을 8잔 이상 마시고 실내습도를 40~50%로 조절해 콧속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는다.
2. 하루 한 번 이상 생리식염수로 코를 세척한다.
3. 죽염이나 소금물로 콧속을 세척하는 것을 피한다.
4. 황사가 심할 때는 외출을 삼가고,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한다.
5. 외출에서 돌아왔을 때 얼굴과 손을 깨끗이 씻고 입 안을 양치한다.
6. 바람이 강한 날에는 창문을 열지 않는다. 이때는 침구류도 밖에 널어 말리지 않는다.
7. 공기정화기를 사용해 실내 먼지를 제거한다.
8. 청소기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고 가능한 카펫은 깔지 않는 것이 좋다.
9. 생강과 계피를 2:1 비율로 달여 아침과 잠자기 전에 수시로 마신다.
10. 개, 고양이, 새 등 애완동물은 키우지 않는 것이 좋다.
'♡피나얀™♡【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형 인간, 누구나 되는 것 아니다" (0) | 2007.03.17 |
---|---|
고기+밥, 정말 살찔까? (0) | 2007.03.16 |
내 속의 악마 '불안 장애' 생활을 좀 먹는 병 (0) | 2007.03.15 |
파킨슨병 환자 15만명 시대 "풍이 아닙니다" (0) | 2007.03.15 |
봄볕에 취해 무리한 운동땐 탈나요 (0) | 2007.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