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갑상선에 대한 보고서
갑상선 호르몬 결과치는 검사 센터와 병원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날 수 있다는것을 알아두세요.
혈액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죠.
갑상선 호르몬 혈액 검사에는 T4, T3, TSH가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은 혈중에서 갑상선 호르몬 결합 단백질(TBG)에 결합해 있는 것도 있고, 분리되어
단독으로 있는 것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를 모두 합한 것을 총 T4 (total T4), 총 T3 (total T)라고 하고 분리되어 있는 것을 유리 T4(free T4), 유리 T3(free T3) 라고 합니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에서는 총 T4, 총 T3, 유리 T4, 유리 T3는 증가하고, TSH는 감소하게 됩니다.
임신과 같이 TBG가 증가하는 상태에서는 총 T4, 총 T3는 증가하나 유리 T4, 유리 T3는 정상입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유리 T4, 유리 T3을 측정하여야 정확합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갑상선 자체의 이상으로 인한 경우를 일차성 갑상선 기능저하증이라 하고,
뇌하수체와 시상하부의 이상으로 인한 경우를 각각 이차성, 삼차성 갑상선 기능저하증이라고
합니다.
일차성 갑상선 기능저하증에서는 총 T4, 총 T3, 유리 T4, 유리 T3는 감소하고, TSH는 증가하게 됩니다.
이차성 및 삼차성 갑상선 기능저하증에서는 모두가 감소하게 됩니다.
갑상선 자가 항체에 대한 검사로 대표적인 것이 3가지가 있습니다.
TSH 수용체 항체 (TSH-R-Ab), 항갑상선과산화효소 항체 (anti-thyroid peroxidase Ab 혹은 anti-microsomal Ab), 항티로글로불린 항체 (anti-thyroglubulin Ab)가 있습니다.
TSH 수용체 항체는 그레이브스병에서 증가하고, 항갑상선과산화효소 항체와 항티로글로불린 항체는 하시모토병에서 증가합니다.
티로글로불린 (thyroglubulin)은 갑상선 암, 갑상선염, 갑상선 기능항진증 등에서 비특이적으로
증가합니다.
이것으로 갑상선 암을 진단할 수는 없으나, 갑상선 암 환자에서 수술 전에 증가되어 있었던 경우는 수술 후에 재발의 조기 진단을 위한 종양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검사시 항티로글로불린 항체와 함께 검사해야 합니다.
각 검사에 대한 조금 더 긴 설명
T3(삼요드타이로닌) 검사
혈액중의 「삼요드타이로닌(T3)」 정상치는 90-170 ng/dl이며, 갑상선기능항진증에서 증가되고, 갑상선 기능저하증에서 감소됩니다.
보통 T4와 함께 측정하며, T4보다 갑상선 호르몬 작용이 강력합니다.
T3는 T4처럼 TBG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임신 등으로 TBG가 증가하면 T3도 상승합니다.
그러나 갑상선 기능이 정상이면 단백질과 결합하지 않는 유리T3는 정상 범위를 유지하며,
최근에는 유리T4 처럼 유리 T3 측정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유리T3의 정상 치는 2.5-5.0 pg/ml(피코그램/밀리리터)입니다.
피코그램(pg)」이란 1조분의 1그램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호르몬은 매우 적은 농도에서도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혈액중의 T3중 0.3%가 유리T3입니다.
실제로 갑상선 호르몬으로 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단백질에 결합되어 있지 않고 세포 내로 자유롭게 침투하는 유리T3입니다.
유리 T3가 높으면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그리고 낮은 수치면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T4(티록신) 검사
정상인에서 혈중 「티로신(T4)」치는 대략 5-11 g/dl(마이크로그램/데시리터)입니다.
「마이크로그램( g)」이란 100만분의 1그램이고, 데시리터(dl)는 10분의 1리터(100ml, 100cc)입니다.
갑상선기능항진증에서는 이 수치가 증가하며,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는 수치가 저하됩니다.
혈액중의 T4는 대부분 티록신 결합단백(TBG)이라고 하는 단백질과 결합하여 순환하고 있습니다.
TBG는 여성 호르몬이 많으면 증가합니다.
따라서 임신중에는 TBG가 증가하고, TBG가 증가하면 여기에 결합된 T4도 증가하여 갑상선 기능은 정상이지만 혈액중의 T4는 높게 보입니다.
임신 중에 목이 커졌을 때 T4만을 검사하여 갑상선기능항진증이라고 진단할 수 없습니다.
세포 속으로 들어가서 갑상선 호르몬 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TBG와 결합되어 있지 않은 T4입니다.
즉 T4는 TBG와 결합하거나 분리되어 혈액 속을 순환하며, 이 중에서 TBG와 분리된 것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 갑상선 호르몬 작용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러한 T4를 「유리 티록신」이라고 부릅니다. 유리T4의 정상 치는 약 1-2 ng/dl(나노그램/데시리터)입니다.
나노그램이란 10억분의 1그램입니다. 따라서 혈액중의 전체 T4중 매우 적은 0.02% 정도가 유리T4의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리 T4가 높아지면 틀림없이 갑상선기능항진증이고, 저하되면 틀림없이 갑상선 기능저하증입니다. 앞에서 설명 한대로 임신 중에 T4가 높더라도 유리T4가 정상 범위에 있으면 갑상선 기능은
정상입니다.
갑상선병이 있는가 알아보는 검사로 T4 보다 유리T4 측정이 보편화되어 있습니다.
TSH 수용체 항체검사
갑상선의 세포막에는 TSH와 결합하여 그 정보를 세포 내로 전달하는 TSH 수용체가 있습니다.
혈액 속을 흐르는 TSH가 갑상선 세포막에 있는 TSH 수용체에 결합되면 요드(옥도)의 유입이 활발해지고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과 분비가 자극을 받습니다.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는 TSH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 자가항체는 TSH 처럼 TSH 수용체를 자극하여 요드의 유입을 재촉하고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과 분비를 자극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그레이브스병에서는 갑상선 호르몬이 많이 만들어져 갑상선 호르몬 중독증이 되는 것입니다.
현재 임상에서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TSH 수용체 항체」를 검사하고 있습니다.
즉 이 항체가 방사성 요드(125I)에서 표지된 TSH(125I-TSH)의 TSH 수용체 결합을 어느정도 억제하는가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이 검사는 「TSH 결합 억제항체(TSH binding-inhibitory immunoglobulin,TBII)」라고
부르며, TSH 수용체 항체 검사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갑상선 자극호르몬 검사
「갑상선 자극호르몬」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정상치는 0.4-4 U/ml(마이크로단위/밀리리터)입니다.
최근 매우 민감한 TSH 측정법이 개발되어 0.1 U/ml까지 측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혈액중의 T4와 T3의 농도가 낮아지면 TSH 분비가 증가합니다.
TSH는 갑상선에 작용하여 요드의 유입을 촉진하고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킵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충분하면 TSH 분비는 저하됩니다.
특히 갑상선 호르몬이 과잉 상태일 때는 TSH의 분비는 억제되어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저하됩니다.
TSH가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저하(0.1 U/ml미만)되어 있으면 환자는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처음 발견된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는 대부분TSH가 0.1 U/ml 이하로 저하되어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한 상태가 되면 뇌하수체에서 TSH 분비가 많아져 TSH 농도는 4 U/ml 이상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만성 갑상선염으로 진단되어 TSH가 4 U/ml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는 사람은 갑상선 호르몬제 보충 요법을 시작할 필요가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면 TSH가 매우 증가되어 심한 점액수종 환자에서 100 U/ml 이상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갑상선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도 그 원인이 뇌하수체에 있는 경우에는 TSH는 증가되지 않습니다.
면역 기능 이상의 검사
갑상선병에서는 면역 이상에 의해 여러 종류의 「자가항체」가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항체 중에서 흔히 측정하는 것은 갑상선내 단백(티로글로블린)에 대한 자가 항체와 페르옥시다제에 대한 항체입니다.
항미크로좀항체 검사
미크로좀은 세포를 부수어 초원심분리기로 분리하면 침전하는 작은 세포 성분을 말합니다.
만성 갑상선염에서 이 세포 성분에 대한 자가항체가 많이 발견됩니다.
최근에 이 항체를 만드는 항원이 「페르옥시다제」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페르옥시다제는 갑상선 세포에 함유되어 있는 효소이며, 갑상선 안으로 들어온 요드(옥도)를
아미노산인 타이로닌에 결합시켜 갑상선 호르몬을 만드는 작용이 있습니다.
이 효소에 대한 자가 항체가 「항미크로좀항체」입니다.
항미크로좀항체는 특히 만성 갑상선염(하시모토병)에서 높은 수치가 됩니다.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없더라도 이러한 자가항체가 검출되면 만성 갑상선염이라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이러한 항체는 그레이브스병에서도 흔히 검출됩니다.
항티로글로블린 항체 검사
갑상선 호르몬은 단백질의 일종인 티로글로블린을 기초로 만들어집니다.
티로글로블린에 있는 타이로닌에 요드가 결합하면 T3와 T4가 합성되어 갑상선 여포내에 저장하게 됩니다.
이 티로글로블린에 대한 자가항체가 「항티로글로블린 항체」입니다.
항티로글로블린 항체는 만성 갑상선염에서 흔히 발견되며, 그레이브스병에서도 양성입니다.
종 류----------------------------------정상치
T4(티록신)----------------------------5~11㎍/dL
유리 T4-------------------------------0.5~1.6ng/dL
T3(삼요드타이로닌)--------------------90~170ng/dL
TSH(갑상선자극호르몬)-----------------0.4~4uU/dL
TRAb(TSH수용체항체)-------------------10% 이하
Tg(티로글로블린)----------------------25ng/㎖ 이하
TgAb(항치로글로블린항체)--------------100IU/㎖ 이하
AMA(항미크로좀항체)-------------------0.3U/㎖
정상수치별 항진증과 저하증의 가감표입니다.
갑상선기능항진증-------------------갑상선기능저하증
증 가 -----------------------------------저 하
증 가 -----------------------------------저 하
증 가 -----------------------------------저 하
저 하 -----------------------------------증 가
증 가 ----------------------------------일부에서 양성
증 가
증 가 -----------------------------------증 가
증 가 -----------------------------------증 가
---------------------------------------------------------------------------
위 글은 경희의료원에서 가져온 자료입니다.
혹 저자권 침해로 삭제를 원하시는 분이나 틀린부분이 있으면 bumin7@naver.com
또는 방명록에 글 남겨주시면 빠른시일
안에 정리하겠습니다.
'♡피나얀™♡【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방사선검사 (0) | 2005.11.06 |
---|---|
[펌] 갑상선 질환으로 인해 눈에 어떤 이상이 올 수 있습니까? (0) | 2005.11.06 |
[펌] 】<건강상식> 잘못된 눈 건강 상식들 (0) | 2005.11.04 |
[펌] 흑설탕과 꿀 미용법 (0) | 2005.10.30 |
[펌] 바디라인 섹시하게 만드는 요가동작 6가지 (0) | 2005.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