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오마이뉴스 2006-08-20 14:07]
|
▲ 구슬놀이 중 일명 '삼각형'입니다. 물론 옛날 구슬치기하던 마당은 모래가 없이 단단했지요. |
ⓒ2006 김민수 |
퇴근길에 강남의 어느 학원가를 지날 때 길가에 즐비하게 서있는 대형버스에 새겨진 선명한 학원의 이름을 보면서 사교육과 공교육의 싸움에서 공교육이 완전히 패배했음이 마음 아팠습니다.
학교와 학원을 전전하는 아이들도 안타깝지만 그 뒷바라지를 위해 수고해야하는 부모들의 근심걱정도 안타깝기는 마찬가집니다. 나는 중학생 둘과 초등학생 하나를 둔 40대 중반의 가장입니다. 혹시라도 아이들이 이 다음에 원망할까봐 최소한의 것들은 해주고 싶어 하는 가장입니다. 그러나 정말 허리가 휩니다. 아끼고 또 아껴도 마이너스 통장에서 헤어 나오질 못하니 내 집을 장만하겠다는 꿈은 접은 지 오랩니다.
|
▲ 아들의 속칭, 깔빼기(?) 실력은 대단했습니다. 삼각형 안에서 나간 구슬은 모두 아들 것입니다. |
ⓒ2006 김민수 |
공원 운동장으로 나갔습니다.
옛날 마당에는 모래가 없었고, 찰진 흙마당이라 구슬치기 하기가 아주 적당했습니다. 그 마당에 비하면 형편없지만 대충 삼각형을 그리고 게임법칙을 설명을 하고는 온 가족이 '삼각형'이라는 구슬치기를 했습니다. 몇 번 하자 곧 탄력이 붙은 막내가 삼각형을 정확하게 맞췄습니다. 탄성과 환한 웃음, 삼각형 밖으로 나간 구슬을 줍는 고사리 손을 보면서 '저렇게 놀아야 하는데…'하는 마음에 안타까웠습니다.
옛날 어릴 적 하고 놀던 놀이를 우리 아이들도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도 제대로 된 구슬치기를 막내가 9살이나 되어서야 전수(?)를 시켜주니 참 나쁜 아빠가 되었습니다.
|
▲ 딸내미도 지지 않고 구슬을 따갑니다. 구슬을 주으며 싱글벙글, 마음도 즐겁겠지요. |
ⓒ2006 김민수 |
'쌈치기'는 일제의 영향을 그대로 물려받은 놀이인 것 같습니다. 구슬 하나는 '으치', 둘은 '니', 셋은 '쌈'이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쌈치기'가 된 것이지요. 그와 비슷한 것으로 '홀짝'이 있었습니다. 고사리 손에 들어있는 구슬이 홀수인지 짝수인지 맞추는 놀이니 확률이 50%입니다. 쌈치기보다는 높은 확률이지요.
그리고 '봄들기'라는 것이 있었는데 4군데 구멍을 파놓고 순서대로 먼저 도는 사람이 이기는 것입니다. '오보십보'는 구슬을 맞춰서 맞춘 구슬과의 간격에 따라서 승패를 다루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많았던 것 같은데 구슬치기하면 대표적인 놀이는 삼각형, 쌈치기, 홀짝, 봄들기, 오보십보였던 것 같습니다.
|
▲ 다시 새 판이 시작되고, 이제 삼각형 가까운 곳에 구슬을 대는 기술까지 등장을 했습니다. |
ⓒ2006 김민수 |
그런데 참 신기한 것은 구슬치기도 계절을 타는데 주로 겨울에 많이 했다는 것입니다. 그 차가운 유리구슬을 만지며 곱은 손 불어가며 놀았으니 손이 트고 갈라지고 난리가 났었지요. 더운 여름에는 옹기종기 모여 땀띠가 나도록 동그란 딱지놀이를 했지요. 왜 놀이마다도 계절이 있었는지는 잘 모르지만 아무튼 지금은 추억의 놀이입니다.
지금이야 유리구슬이 흔했지만 어릴 적에는 문방구가 아니라 고물장사 아저씨들에게서도 구할 수 있었지요. 뻥튀기나 엿, 혹은 번데기와 구슬 등을 가져 다니면서 철가위를 '척척!'치면 아이들은 고물을 가지고 리어카로 달려갔습니다. 버릴 것이라고는 하나도 없었던 그 시절, 조금 불편했어도 사람답게 살아갔던 것 같습니다.
음식물쓰레기가 남아도는 현실, 멀지 않은 곳에서는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리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현실은 우리가 옛날보다 편리해졌는지는 모르지만 비인간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은 분명한 사실인 것 같습니다.
|
▲ 아직 몸이 덜 풀린 아들을 위해 일명 '오보십보'를 했습니다. |
ⓒ2006 김진희 |
며칠 전 두 달에 육백만원, 한 시간에 십만 원 상당의 고액과외를 하던 학원이 적발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나는 그렇게 공부시켜 줄 능력이 없는 부모입니다. 무능력한 부모라고 하면 뭐라고 말해야 할까 싶습니다. 그런데 그 이후 일류대 진학률은 부모의 경제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뉴스도 들었습니다.
일제시대가 떠올랐습니다.
친일파들의 자손들과 독립군의 자손들, 해방 이후에도 왜 부와 가난이 대물림되었는지 분명해 지더군요. 그래서 일까요? 우리네 부모님들은 '이러면 안 되는데…'하면서도 결국 내 새끼만은 어떻게 해서든지 일류대에 보내겠다고 경쟁을 합니다.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버린 것이죠. 그러니 우리 아이들이 맘껏 뛰어놀 수 있는 세상은 요원한 것입니다.
구슬치기를 하고 돌아오는 길, 우리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세상은 있을까? 생각하니 마음이 무겁습니다.
덧붙이는 글
기사 중에 나오는
구슬치기 놀이의 명칭은 어릴 적 불렀던 것을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기자소개 : 자연과 벗하여 살아가다 자연을 닮은 책
<달팽이는 느리고, 호박은 못생겼다?>, <내게로 다가온 꽃들 1, 2>, <희망 우체통>,
<달팽이걸음으로 제주를 보다>등의 책을 썼으며 작은 것, 못생긴 것, 느린 것, 단순한 것, 낮은 것에 대한 관심이
많다.
'♡피나얀™♡【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품 좇는 아이? 경제개념부터 키워주세요 (0) | 2006.08.21 |
---|---|
사랑의 毒… 과보호시대 어린이 행동장애 (0) | 2006.08.21 |
임신했을 때, 어떤 음식이 좋을까? (0) | 2006.08.17 |
호기심, 탐구심을 키우는 연령별 아이 독서지도법 (0) | 2006.08.17 |
아이들 건강한 여름나기...소화기계통 보호 '신맛 과일' 도움 (0) | 2006.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