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나얀™♡【여행】

蓮의 바다, 부처님 빙그레 웃으신다

피나얀 2006. 8. 25. 20:25

 

출처-[동아일보 2006-08-25 08:35]

 

영산강변 무안 황토벌에 펼쳐지는 연화장의 화엄 세상. 회산 백련지. 새벽 물안개 속의 닫았던 연꽃잎이 열릴 때 퍼져나오는 은은한 연꽃 향기는 이른 아침 이곳을 찾는 부지런한 이만의 몫이다. 무안=조성하 여행전문기자


 

낙지와 연꽃, 그리고 연극 ‘품바’의 고장, 전남 무안. 이 질박한 남도의 맛과 멋의 고향 무안은 반도다. 바다로 잦아드는 황토 골, 들고 남이 복잡한 해안선, 거기에 켜켜이 쌓인 개흙의 개펄 천국이다. 뭍과 바다를 두루 취한 풍요의 땅.

 

그래서 유연하고 서두름 없으며 두루 베푼다. 연꽃과 품바가 무안의 상징이 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 무안으로 여행을 떠난다.

 

해뜨는 아침. 부산한 것은 새들의 하늘만이 아니다. 무안의 연꽃 방죽 역시 소란스럽다. 밤새 닫았던 백련 꽃잎을 여는 소리다. 정중동(靜中動). 열린 듯 닫힌 듯 아리송한 모습은 어느 순간 활짝 핀 꽃으로 변한다.

 

진흙탕 속에서도 청정한 꽃을 피우는 연꽃(사진). 덩굴이 지거나 가지를 치지 않으며, 속은 비었으되 겉은 곧고, 깨끗이 씻었어도 요염하지 않으며, 좋은 눈빛으로 바라볼 수는 있어도 가지고 놀 만큼 업신여길 수 없고, 멀수록 향기롭고….

 

그래서 군자라 일컬어지는 꽃. 영산회상에서 가섭 존자가 염화시중의 미소로 부처님에게 화답할 때 부처님이 들어 보이셨던 바로 그 꽃이다.

 

10만 평의 회산 백련지(일로읍). 연잎 위로 살며시 핀 백련 꽃으로 단장됐다. 벌써 10회를 맞은 무안백련대축제는 15일 막을 내렸다. 그러나 한꺼번에 피는 홍련과 달리 백련은 9월까지도 피고 진다. 그러니 딱히 축제기간을 따를 필요는 없다.

 

 


무안반도. 동고서저의 낮은 구릉이 빙하기가 끝나고 상승한 해수면으로 바다에 잠기면서 형성된 특별한 지형이다. 물이 들지 않았다면 이웃한 ‘섬 왕국’ 신안군은 무안과 두루 연결된 뭍이었으리니.

 

바다로 잦아드는 땅이다 보니 해안선의 들고 남이 복잡하기 이를 데 없다. 갯벌과 모래사장은 그래서 발달한다. 이름도 독특하다. 홀통, 조금나루, 달머리, 톱머리, 솔마루, 도리포…. 차로 달리다 보면 이런 갯벌과 해변이 전후좌우 수시로 나타났다 사라진다. 그래서 지형을 모르는 이는 방향감각을 잃고 어리둥절할 뿐이다.

 

무안반도의 북단 해제면. 읍내에서 가다 보면 해제로 향한 국도24호선 양옆으로 바다가 펼쳐진다. 왼편은 서해(탄도만), 오른편은 함평만. 해제와 무안을 잇는 이 길쭉한 지형(현경면)은 흡사 방조제를 연상시킨다.

 

무안의 명물 해변 홀통(유원지)이 여기에 있다. 요즘 이 부근 봉오재를 넘다 보면 ‘운저리 비빔밥’이라고 쓴 광고판이 많이 보인다. 운저리란 망둥이의 남도 사투리. 지금 한창 잡히는 망둥이를 회쳐 보리밥에 얹어 비벼먹는 향토음식이다.

 

홀통이란 호리병의 병목. 바다로 돌출한 길쭉한 이곳은 주변과 달리 온통 백사장이다. 바람도 잦아 윈드서핑의 명소다. 그 반대편(함평만)에도 비슷한 돌출 지형이 있는데 그곳이 달머리(월두)다.

 

곰솔나무가 숲을 이룬 야산 아래 모래 해변이 400m가량 이어진다. 정박시설이 없어 어선을 해변에 묶어둔 한적한 어촌인데 최근 개펄체험 프로그램을 갖추고 관광객을 부르고 있다.

 

 


캠핑 명소는 홀통 남쪽 조금나루. 뭍(망운면)과 모래톱으로 이뤄진 돌출 지형인데 송림 주변은 온통 갯벌이다. ‘나루’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간만차가 가장 작은 조금에는 모래톱이 물에 잠겨 나룻배가 오갔기 때문.

 

그 모래톱 위로 둑을 쌓아 자동차가 오가는 육지가 됐다. 탄도가 정면에 있다. 선착장에서는 망둥이 낚시가 한창이고 송림 그늘 안은 텐트로 꽉 찼다.

 

‘4000회 공연’의 대기록을 세운 연극 ‘품바’. 그 발상지는 일로읍이다. 때는 1981년. 주민모임 ‘인의예술회’가 의산리 천사촌(걸인천막촌)에서 채록한 품바타령을 소재로 꾸며 청년회의소에서 첫 무대에 올렸다.

 

1920년대 형성된 천사촌은 1980년대 말까지 있었다. 현재는 모두 떠나고 그 터는 쑥대와 미국자리공으로 뒤덮였다. 근방에 ‘품바’의 연출자 김시라 씨(2000년 작고)의 생가가 있다.

 

 

 

 

 

 

 

 

 



“새콤한 ‘운저리 비빔밥’ 한술 떠보드랑께”

 

 


바다와 뭍이 두루 어울린 무안에는 특별한 먹을거리가 많다.

 

대표적인 것이 망둥이와 낙지, 그리고 양파다. 낙지와 양파는 맛의 원천이 ‘흙’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낙지는 부드러운 개흙, 양파는 게르마늄 성분이 많이 함유된 황토가 텃밭이다.

 

▽망둥이=사철 나는 망둥이지만 7, 8월이 제철이다. 무안에서는 ‘운저리’라고 불린다. 회를 친 뒤 양파 오이를 썰어 넣고 함께 버무린 초무침을 보리밥에 얹어 콩나물과 함께 비벼먹는 ‘운저리 비빔밥’(사진)이 특미다. 본산은 현경과 해제, 두 면 사이에 놓인 홀통(호리병의 길쭉한 목 부분) 모양 길쭉한 땅의 봉오재 삼거리.

 

양정식당 주인 정민숙 씨의 말. “20여 년 전 당뇨병으로 고생하던 시어머니가 비온 끝이면 개펄에 밀려오는 운저리를 양푼으로 떠다가 초무침해 보리밥에 비벼 먹고는 하셨다. 그 모습을 본 외지인들이 맛본 뒤 찾아오기 시작해 알려졌다.”

 

미역국 게장 계란찜 등 함께 차려내는 푸짐한 반찬의 남도밥상은 기본이다. 현경면 달머리마을 가는 길 초입(여행정보 참고). 061-453-8233

 

▽양파한우=양파는 황토골 무안의 대표적인 농작물. 맵지 않은 맛이 특징이다. 양파주스, 양파김치도 맛볼 수 있다.

 

양파를 먹여 키운 한우는 누린내가 없고 육질도 부드러워 비싸게 팔린다. 암소한우 전문점 ‘승달가든’(무안읍)에서는 양파한우 암소로만 내는 생고기(갈비 안쪽의 치맛살)와 샤브샤브를 맛볼 수 있다. 무안농협·무안초등학교 앞. 061-454-3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