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gif)
출처-2006년 12월 14일(목) 9:38 [경향신문]
어릴 적 케이크는 아무 때나 먹는 음식이 아니었다. ‘떡 대신 케이크’라는 서구 문화가 생소하기도 했거니와 먹고 살기 힘들었던 시절 케이크는 일종의 호사였다. 생일 또는 크리스마스 때면 밤새 잠도 안자고 케이크를 사들고 오실 아버지를 기다리곤 했다. 케이크는 ‘한입의 달콤함’을 온 몸으로 느끼며 일상을 벗어나 환상을 갖게 해주는 그런 마술 같은 이미지의 음식인 것이다.
요즘이야 길거리 곳곳에서 쉽게 케이크를 구워 내다파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지만 여전히 케이크는 사람의 마음을 훈훈하게 만든다. 가족끼리, 친구들끼리, 연인끼리 둘러앉아 촛불을 단숨에 불어서 끈 후 나눠먹는 케이크 한 조각. ‘축하’ ‘무병장수에 대한 기원’ 등을 의미하는 차원에서 유래됐다는 케이크를 올 크리스마스에는 직접 만들어 보자.
오븐이 있다면 직접 스펀지 케이크를 구워 취향에 따라 생크림·과일 등으로 멋을 내면 된다. 오븐이 없어도 인근의 백화점, 할인마트, 빵집 등에서 파는 스펀지 케이크를 사다가 샌딩 작업만 해도 되고 아니면 밥솥 등을 이용해 케이크를 만들어도 좋다.
# 밥솥을 이용해 생크림 케이크 만들기
재료:
박력분 100g, 베이킹파우더 1작은술, 달걀 3개, 설탕 80g, 버터 40g, 바닐라오일 2작은술, 시럽(설탕 50g, 물 100g), 생크림 500g, 설탕 50g, 과일 적당량.
조리순서:
1. 전기밥솥 안쪽에 버터칠을 해 놓는다.
2. 박력분과 베이킹파우더는 체 친다.
3. 달걀을 볼에 대충 풀고 설탕을 넣고 다시 저은 후 뜨거운 물 위에서 중탕으로 데우며 손거품기로 계속 저어 준다. 달걀물의 온도가 약 40도가 될 때까지 (손으로 만져보아 따끈할 때) 데운다. 저어주지 않으면 달걀이 익는다.
4. 중탕냄비에서 볼을 내려서 달걀이 완전히 걸쭉한 거품으로 될 때까지 전기거품기로 잘 휘핑한다. (반죽 확인법: 반죽을 떠올려 떨어뜨렸을 때 그 모양이 한참 후까지 남아 있어야 한다.)
5. 달걀을 휘핑하는 동안 버터를 중탕으로 녹인다.
6. 3의 걸쭉해진 달걀에 체 친 밀가루를 솔솔 뿌려가며 볼을 돌리면서 고무주걱으로 가볍게 섞는다.
7. 밀가루가 안 보이게 되면 그 반죽을 한 주걱쯤 녹인 버터에 넣고 빨리 섞어 그것을 다시 원 반죽에 넣고 다시 볼을 돌려가며 가볍게 섞는다. 이 때 너무 많이 섞으면 반죽이 꺼지므로 섞일 때까지만 한다.
8. 버터 칠한 밥솥에 반죽을 붓고 밥 하듯이 전원을 켠다. 밥솥이 보온 상태로 돼 뜸 들 듯이 케이크도 뜸을 들인다. 혹 뚜껑을 열었을 때 이쑤시개로 찔러 보아 묻어 나오면 전원을 다시 누르고 뜸을 한번 더 들인다.
9. 다 되었으면 가장자리를 잡고 뒤집어 그대로 식힌다.
10. 시럽은 설탕·물을 같이 냄비에 넣고 냄비를 흔들어 가며 끓인 후 식힌다.
11. 구워 식힌 스펀지 케이크를 가로로 2등분 혹은 3등분으로 해 케이크 한 장 한 장마다 시럽을 바르고 생크림을 덧바른다. 겉을 정리하고 과일로 마무리한다.
# 카스테라로 만드는 컵 티라미슈
재료:
카스테라 적당량, 마스카르포네 치즈 50g, 크림치즈 30g, 설탕 50g, 계란노른자 40g, 젤라틴 3g, 생크림 120g, 장식용 카카오파우더 약간, 시럽(설탕 30g, 물 50g, 커피 20g 칼루아 10g).
조리순서:
1. 카스테라를 약 1㎝ 두께로 조각내 준비된 유리잔이나 컵의 크기에 맞게 넣는다.
2. 설탕과 물을 섞어 끓인 후 커피를 넣고 녹인 다음 칼루아를 섞어 시럽을 만든다.
3. 실온에 둔 마스카르포네 치즈와 크림치즈를 잘 섞어 덩어리가 없는 부드러운 크림 상태로 만든다.
4. 계란노른자와 설탕을 가볍게 섞은 후 볼을 80도 정도의 뜨거운 물에 담가 중탕으로 익히면서 계속 저어 연노란색의 거품을 만든다.
5. 3, 4와 녹인 젤라틴을 함께 섞은 후 거품을 낸 생크림을 두세 번에 나눠 넣으면서 섞는다.
6. 식힌 시럽을 카스테라에 촉촉이 발라주고 완성된 치즈크림을 담아 카카오파우더를 솔솔 뿌려 마무리한다.
|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