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gif)
출처-2006년 12월 15일(금) 오후 1:45 [오마이뉴스]
휴대전화 보급률 세계 1위를 자랑하는 한국. 하지만 이를 이용한 범죄도 증가하는 추세다. 범행 직전 자녀를 속여 휴대전화기를 꺼두게 한 뒤 부모에게 전화를 걸어 '아들을 납치했으니 금품을 보내라'고 협박하거나 훔친 피해자의 차량에 비치된 연락처를 보고 차량 소유주에게 전화를 걸어 '금품을 보내지 않으면 차량을 불태우겠다'고 협박해 금품을 챙기는 경우까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일선 현장에서 근무하는 경찰관들이 말하는 '협박전화를 받았을 때 대처하는 8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
![](http://news.nate.com/picture/2006/12/15/108//o72bak_334910_1[561286].jpg) |
|
|
|
ⓒ2006 박승일 |
[첫째]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라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 그러나 낯선 번호가 자신의 휴대전화에서 울린다면 조금은 의식하고 받을 필요가 있다. 당황한 상태에서 통화하면 나중에 자신이 무슨 말을 했는지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나중에 경찰에 신고했을 때 가장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으므로 최대한 침착해야 한다.
[둘째] 가급적 통화를 길게 하라
상대는 자신의 요구만 일방적으로 말한 뒤 가급적 빨리 끊으려 할 것이다. 요즘엔 주로 '대포폰'(다른 사람의 명의로 개통한 휴대 전화)이 범행에 사용되고 있다.
범인이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는지, 유선전화를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휴대전화의 경우 상대의 발신번호가 제공되거나 '발신번호 제한' 등 메시지를 볼 수 있다. 이는 위치추적을 위한 중요한 단서가 된다(구체적인 내용은 범죄에 악용될 수 있어 생략하며, 주변 소음 등을 통해 휴대전화인지 유선전화인지 정도만 알아두면 된다).
[셋째] 통화내용과 휴대전화기 등에 찍힌 번호를 메모하라
메모하다 보면 범인의 인상착의나 허점을 알 수도 있다. 그렇지 않고 머릿속으로만 생각하고 얘기하다보면 오히려 범인에게 이용당하기 쉽다. 또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공중전화라 하더라도 추후 범인의 위치추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음으로 반드시 메모해둬야 한다.
[넷째]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점검하라
요즘 나온 휴대전화엔 위급상황에서 긴급구조요청(SOS) 기능과 여러 명이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기능은 물론 녹음 기능이 내장되어있다. 그러나 이를 제대로 숙지하고 사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자신의 휴대전화기 기능을 다시 한 번 꼼꼼히 챙겨 숙지해둘 필요가 있다.
[다섯째] 긍정적으로 상대방을 설득하라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범인과 통화할 필요는 없다. 그렇다고 너무 냉정하거나 강한 어투로 통화하는 것도 좋지 않다. 가급적 긍정적인 어조로 상대방을 안심시켜야 한다. 그러다 보면 범인도 모르게 진실을 말하거나 마음이 약해져 범행을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대화 내내 부정적으로 대화해 범인을 흥분시키는 것은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여섯째] 가족과 가까운 사람들의 연락처를 알아두라
부모는 자녀들과 가장 가깝게 지내는 친구나 동료들을 두세 명은 알아두는 게 좋다. 또한 자녀는 부모와 가깝게 지내거나 자주 가는 곳의 연락처를 사전에 알고 있으면 큰 도움이 된다. 협박 전화를 받고 전화했을 때 자녀나 부모의 휴대전화기가 꺼져 있더라도 연락해 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일곱 번째] 다시 통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라
한 번의 통화로 모든 것을 결론 낼 필요는 없다. 범인이 요구사항을 말하면, 이행하기 어려운 점이나 장소 이동의 어려움 등을 말하라. 또한 상대가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그럴 경우 통화 약속을 쉽게 잡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고 범인이 다급하게 통화를 시도하고 끊으려 한다면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여유 있게 대화를 주도하는 게 중요하다.
[여덟 번째] 경찰에 즉시 신고하라
범죄 신고는 단 1초라도 빨리 하는 게 사건해결에 큰 도움이 된다. 만약 범인의 이야기만 듣고 스스로 해결하려 하다가는 있지도 않은 사건에 말려들거나 범죄 사실을 더 크게 확대시킬 수 있다. 신고가 늦어질수록 범죄해결의 시간 또한 늦춰진다는 사실을 명심해줬으면 한다.
|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