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나얀™♡【건강】

"男들 따라하지 마세요!" 여자 요가는 따로 있다

피나얀 2007. 1. 11. 19:52

 

출처-[한국일보 2007-01-11 17:18]



“그래, 요가 하는거야.”

새해를 맞을 때마다 주문외듯 다짐하는 것이 운동. 그런데 막상 운동 좀 하려면 갑자기 날씨는 왜 이리 추워지고, 신발은 왜 죄 다 밑창이 허술한지. 이래서야 무릎관절이나 버리지 싶은 순간, 신발장 한구석에 처박아 둔 요가 매트가 떠오른다.

 

요가로 살 빼고 몸매도 예뻐졌다는 가수 옥주현, 영화 <올드보이>에서 유지태가 선보인 엎드려 다리 들어올리기 동작(이걸 요가에서는 ‘메뚜기자세’라고 한다지), 하다못해 서울시장이 되기 전 정수기 광고에 잠깐 등장했던 오세훈 시장의 요가 모습까지 줄줄이 이어진다.

 

따뜻한 실내에서 느리게 추는 춤처럼 우아하게 수련하며 건강을 다질 수 있다면 이 보다 좋을 수 있을까. 내친 김에 요가원을 찾았다. 그런데, 요가 선생님의 한 마디 “요가, 잘 못하면 독 되요!”

요가 지도자들을 지도하는 최아룡(36ㆍ세상속으로 가는 요가원 원장, 몸과 마음연구소 소장)씨는 “요가를 다이어트의 방편이나 건강에 무조건 좋다는 식으로 생각해선 곤란하다”고 말한다. 체질이나 성별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련하면 오히려 병을 만들 수 있다는 주장이다.

“요가 지도자들 중에도 7년을 수련했는데 오히려 점점 살이 찐다는 사람, 관절이 아픈 사람 등 문제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꽤 됩니다. 겨울이면 자기 손발이 너무 차가워서 수련자들의 손을 잡아줄 엄두가 안 난다는 사람도 있지요.

 

요가 지도자가 아프다고 말할 수도 없으니까 혼자 끙끙대다가 결국 문제를 털어놓아요. 결론부터 말하면 여자의 체질과 생리구조에 맞는 요가는 따로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책에 나온 동작을 무조건 따라 하면서 없던 병도 키웁니다.”

최씨가 말하는 여자를 위한 요가는 이렇다. 예를 들어 유지태가 선보인 메뚜기 자세의 경우 남성한테는 훌륭한 수련법이 되지만 여성에게는 권하기 어려운 동작이다.

“메뚜기 자세는 우리 몸의 기(氣)를 아래로 내려줍니다. 남자는 보통 기가 위로 올라가(상기) 살도 상체에 많이 쪄요. 이럴 때 기를 아래로 내려주면 온 몸의 균형이 맞춰지고, 신장 기능을 강화하면서 성기에 힘이 쏠려 정력을 키우는 효과를 볼 수 있지요. 반면, 여성은 하기하는 체질이라 하체에 살이 집중되는데 이 자세를 많이 하면 허벅지가 굵어지고, 자궁하수가 있는 사람은 더 악화될 수 있어요.”

허리 근력을 강화하고 뱃살을 빼준다고 알려진 뱀자세도 좋지 않다고 말한다. 치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나빠질 수 있다. 양 다리를 ‘찢는’ 박쥐자세나 엄정화가 영화 <싱글즈>에서 선보인 나비자세(구두수선공 자세라고도 한다)도 좋지않다.

 

배꼽 아랫쪽을 지나치게 자극하면서 질과 요도의 조이는 힘을 약화시켜 ‘밑이 빠지는’ 느낌과 함께 요실금의 원인이 된다. 다리를 벌리고 지탱하는 자세가 많은 ‘태양예배’를 여성에게는 권하지 않는 이유다. 또 허벅지 살을 빼는 효과가 있어서 여성들에게 특히 인기 있는 ‘누운 영웅자세’는 중장년층에게는 무릎에 지나치게 강한 자극을 주는 위험한 동작으로 분류한다.

요가의 기본으로 불리는 호흡명상을 위한 자세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연꽃자세(부처상처럼 가부좌를 튼 자세) 대신 여성에게는 ‘싯다 아사나’를 추천한다. 싯다 아사나는 왼발 뒤꿈치로 회음을 누르고 오른쪽 발은 허벅지와 무릎사이에 끼워 발뒤꿈치가 배꼽 아래로 오게 하는 것. 연꽃자세가 회음을 벌리는 반면 이 자세는 회음을 막아준다.

최씨는 요가가 신분계급사회였던 고대 인도의 남성중심적 문화전통에서 나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인도에 수련여행을 가본 분은 알겠지만 여성 지도자가 없습니다. 간혹 여성 지도자의 특강이 열리지만 이들 조차 유럽이나 미주쪽에서 온 사람들이에요.

 

요가경전을 읽다 보면 남자에게는 에너지의 저장소이며 지혜와 초능력적인 힘의 원천인 정수리를 자극하는 물구나무 서기를 ‘요가의 왕’으로 권하는 반면 여성에게는 역 물구나무서기를 권해서, 남성의 권위에 접근하는 것 자체를 봉쇄하죠. 자연히 모든 요가 동작은 남성의 몸에 더 적합하게 개발되었다는 것을 감안해서 수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씨는 2000년대 들어 요가가 참살이 건강법으로 뿌리를 튼실히 내렸다면 앞으로는 무조건적인 예찬 대신 요가 바로 알기에 나설 때라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