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나얀™♡【여행】

古宮은 기억한다 ‘찬란한 봄’을…

피나얀 2007. 4. 7. 19:00

 

출처-[문화일보 2007-04-07 12:32]

 

서울 종로구 창경궁 옥천교 어구에서 활짝핀 매화가 기품을 뽐내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봄이다. 하루가 다르게 여리디여린 연둣빛 새싹이 제 모습을 뽐내는 봄이다. 이 봄, 고궁을 찾아 보자. 수백, 수천년 이어져 내려온 고궁의 고색창연함과 이제 막 피어나는 봄 기운이 어우러져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순간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시인 김영랑이 노래한 ‘찬란한 슬픔의 봄’이 바로 이것인지 모르겠다.

 

◆덕수궁 =

 

봄꽃이 만개한 궁궐을 시민들과 함께 느끼고자 야간개방 기념 봄맞이 문화공연도 준비돼 있다. 4월과 5월 첫째·셋째 주 토요일(4월 7·21일, 5월 5·19일) 오후 7시부터 한 시간 가량 덕수궁 정관헌에서 열리는 문화공연에선 정동극장 예술단의 국악과 클래식을 함께 즐길 수 있는 퓨전국악, 아름다운 선율의 국악관현악, 기품 있는 검무, 흥겨운 사물놀이 등의 무대가 열린다.

 

또 덕수궁 대한문에 들어서서 중화문 앞길까지 펼쳐지는 왕벚꽃 길, 석조전 분수대의 수양버들, 석어당의 살구꽃, 함녕전 후원의 모란꽃밭을 가족이나 연인과 함께 거닐면서 따사로운 봄날 고궁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창덕궁 =

 

후원을 포함한 궁궐 전체를 공개하는 자유 관람을 12일부터, 옥류천 특별관람은 10일부터 실시한다. 창덕궁 자유 관람은 시간의 제약 없이 마음껏 창덕궁 궁궐뿐만 아니라 후원 전체를 거닐어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한적인 관람 이상의 것을 체험할 수 있다. 또 후원지역만을 특화해서 관람하는 옥류천 특별 관람은 궁궐 내 자연을 체험하며, 당대의 역사를 유추해 볼 수 있는 드문 기회다. 창덕궁 자유 관람은 매주 목요일에만 실시되고 요금은 대인 기준 1만5000원. 또 옥류천 특별관람은 월요일과 목요일을 제외하고 실시하며, 요금은 5000원이다.

 

◆창경궁 =

 

정조의 거처 장소였던 영춘헌에서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게 바쳤던 지극한 효의 의미를 기리기 위해 어린이를 대상으로 ‘차예절 체험행사’를 매월 첫째·셋째 주 토요일에 실시한다. 행사 내용으로는 한복입기, 공수법, 절하는 법 등을 배울 수 있는 ‘예절교육’과 전통차에 대해 체험할 수 있는 ‘전통 차 마시는 법’ 등으로 꾸며져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다식 만들기 체험장’을 함께 운영, 전통차와 어울리는 다식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시간도 마련했다.

 

이외에 박물관이나 미술관도 다양한 봄맞이 행사를 마련하고 있다. 우선,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신광섭)은 돼지띠 해 첫 전시로 생활 속에 나타난 수복(壽福) 문자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수복, 장수를 바라는 마음’ 특별전을 지난달 28일부터 오는 5월7일까지 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눈길을 끄는 작품은 모란꽃으로 수(壽)자를 표현한 침장(寢帳)과 지렁이 같은 글씨나 각종 동·식물 등으로 표현된 다양한 ‘백수백복도(百壽百福圖)’. 또한 관람객을 위해 회갑상을 받은 영상이 연출되며, 반대편에서는 혼례복을 입은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회혼례 영상이 펼쳐진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홍남)에선 고고관 고구려실에서 ‘무덤을 지키는 수호신-사신(四神)’이라는 주제의 전시회를 마련했다. ‘사신’은 동쪽의 청룡, 서쪽의 백호, 남쪽의 주작, 북쪽의 현무를 일컫는 것으로 고구려 무덤벽화의 주요 제재 가운데 하나다. 그 첫번째 순서로 지난 3일부터 ‘주작(朱雀)’전을 개최, 고구려 고분벽화중 쌍영총·수렵총·진파리 1호분·강서중묘의 주작 그림을 전시하고 있다.

 

이밖에도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에서 지난 3일부터 열고 있는 테마전 ‘한국미술 속의 정원을 걷다’도 봄날 정취를 만끽하기에 충분하다. 이번 전시엔 보물 1394호 ‘경기감영도 12곡병(曲屛)’을 비롯, 총 41점이 출품돼 한국미술 속의 다양한 정원과 구성 요소들, 특히 산수 정원의 모습을 펼쳐 보인다. 또한 한국미술 속의 정원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어떻게 표현됐으며, 정원 조성의 배경에는 어떤 개념들이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