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해는 일년 동안의 계획을 세우는 뜻깊은 시간이다. 해마다 이맘 때면 신년계획을 거창하게 세워 보지만 작심삼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건강도 마찬가지. 하지만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
반드시 새해는 건강관리 계획을 제대로 실천하는 한해로 만들겠다고 다짐해 보자. 올바른 건강관리 지침에 대해 알아본다.
#건강 책임질 주치의를 찾자
평생 건강관리를 맡길 주치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명의를 찾아 자신의 몸을 여러 의사에게 맡기기보다는 한명의 의사라도 꾸준히 자신을 관심있게 관리해 줄 수 있는 의사를 찾는 편이 더욱 효율적이다. 담당 주치의는 각 연령대나 상황에 맞는 예방적 조치가 무엇인지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치의로부터 자신에게 가장 필요한 검사나 생활습관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따르는 것이 필요하다.
#새해에는 담배를 끊자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폐암 위험성이 20배, 후두암 11.5배, 구강암 13배, 식도암 6.4배 등으로 높다. 이 때문에 무엇보다도 금연이 건강관리의 첫 덕목으로 꼽힌다. 금연 후 약 2년이 지나면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는 사람과 비슷한 상태가 된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유태우 교수가 제안하는 7주 금연법을 실천해 보자.
7주 금연법은
▲금연준비기(2주)
▲금연일
▲금단증상기(2주)
▲금연유지기 등 모두 4단계로 나뉜다. 우선 금연준비기에는 담배를 하루 7개비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해
▲담배의 종류를 저니코틴으로 바꾼다
▲왼손으로만 담배를 핀다
▲라이터와 성냥을 갖고 다니지 않는다
▲은단·껌·사탕 등을 항상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것 등을 행동 실천과제로 삼는다. 금연일은 가급적 새해 첫날이나 자신의 생일, 결혼기념일 등 특별한 날로 정하는 것이 좋다.
금단증상기에는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저녁식사 후 가벼운 산책 등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식사 후 바로 담배를 피우던 사람은 양치질을 하도록 한다. 그래도 흡연 충동이 오면 냉수를 한잔 들이켜거나 호흡을 10회 정도 하면 견디기가 쉬워진다.
금연유지기에는 흡연 갈망은 줄어들지만 스트레스 등으로 다시 흡연하기 쉬운 시기다. 금연 후에 오는 건강 회복 효과를 음미하고 흡연에서 벗어났다는 자신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식이조절을 하자
‘밥이 보약’이란 말이 있듯이 잘먹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특히 한국인의 사망원인 가운데 수위를 차지하고 있는 뇌혈관 질환도 음식물 섭취와 많은 관련이 있다.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의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 육류는 기름이나 껍질이 없는 부위를 선택하고 계란은 1주일에 3~4개 정도 먹는 것이 좋다.
또 잡곡밥, 곡류, 콩 등에 많은 복합당질과 섬유소의 섭취를 늘리면 비만뿐 아니라 당뇨병, 고지혈증을 막는 데 효과가 있다. 또 칼슘 섭취가 부족하면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위험이 증가한다. 특히 철분섭취는 폐경 전 여성과 유아의 빈혈예방에 중요하다.
#적당한 운동을 하자
식이조절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운동이다. 비만과 우울증, 노쇠증후군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준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은 비활동적인 사람에 비해 관상동맥질환의 발생 위험이 2배가량 낮고 고혈압 발생 위험은 35~52% 정도 줄어든다.
운동은 또 당뇨병 위험을 감소시키며 비만 예방과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가끔씩 하는 운동은 크게 도움이 되지 않지만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심질환 위험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준규 의학전문기자·보건학박사 jklee@kyunghyang.com〉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미디어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경향신문 2006-01-01 15:33]
'♡피나얀™♡【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人은 숙면·운동·수분과 친하다 (0) | 2006.01.03 |
---|---|
여보, 난 살 뺄게 당신은 금연하세요 (0) | 2006.01.02 |
[week&기획] 잠깐씩만 짬을 내면 올록볼록 섹시 라인 (0) | 2005.12.30 |
지친 한 해 몸과 마음의 찌꺼기 비우는 단식 (0) | 2005.12.29 |
[펌] 컴퓨터 관련질병과 통증완화체조 (0) | 2005.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