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迎神(영신)
* 교의나 제상 위에 윗대의 조상 신위부터 순서대로 지방(紙傍)을
모신다.
2, 焚香降神(분향강신)
* (제주) 읍(揖)하고 꿇어 앉아 향을 피워 향로에 꽂는다.
*
(집사) 강신 잔을 제주에게 건네주고 술을 따라준다.
* (제주) 술을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에 나누어 모두 붓는다.
* (집사)
제주에게서 강신 잔을 받아 제자리에 놓는다.
* (제주) 제주만 두 번 절한다.
3,
參神(참신)
* (전원) 모든 참례자들이 일제히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한다.
4, 獻酌(헌작)
* (제주) 제주가 신위 앞에 읍하고 꿇어 앉으면 좌집사가 高祖考位의
잔반을 제주에게 주고 우집사는 잔에 술을 가득 붓는다.
제주는 이를 좌집사에게 주고 좌집사는 이를 高祖考位 앞에 올린다.
高祖位의
잔도 동일한 방법으로 올린다.
다음은 曾祖考位, 曾祖位, 考位, 位 순으로 차례로 잔을 올린다.
5. 揷匙正箸(삽시정저)
* (집사) 고조부모로부터 부모에 이르기까지 차례로 떡국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숫가락의 안쪽이 오른쪽으로 향하게)을 떡국에 꽂고 젓가락(손잡이가 왼쪽으로 향하게)을 가지런하게 시접에 걸쳐 놓는다.
추석에는 젓가락(손잡이가 왼쪽으로 향하게)을 송편 위에 올려
놓는다.
* (제주) 제주만 두 번 절한다.
* (전원) 참례자 일동은 조상이 진지를 드시는 동안 잠시 3~4분간 조용히
부복(俯伏)하거나 한 걸음 물러서 생전의 조상을 생각한다.
6. 撤匙覆飯(철시복반)
* (집사) 약한 기침을 하고 윗대 조상부터 차례로 숟가락을 거두어
시접에 담그고 젓가락은 시접 아래 내려 놓는다.
* (집사) 떡국 그릇의 뚜껑을 닫는다.
7. 辭神(사신)
* (전원) 제사 참사자 모두 합동으로 두 번 절한다.
8. 納主(납주)
* (제주) 향 앞에서 지방을 소각하여 재는 향로에 담는다.
9. 撤床(철상)
* 안쪽에 있는 음식부터 차례로 제상에서 음식을 내린다.
10.飮福(음복)
* 참례자 전원이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지방쓰기
출처- 차례상은 야후 차례상 이미지에서
차례 지내는 순서는 패랭이꽃 블로그에서
지방쓰는 법은 cooljay0508님 이미지에서
'♡PINAYARN™♡ 【TODAY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DAY 스크랩】 며느리 거짓말 1위는 "더 계시다 가세요" (0) | 2006.01.26 |
---|---|
【TODAY 스크랩】<무료체험서비스 믿다가는 `큰일'> (0) | 2006.01.26 |
【TODAY 스크랩】 조심스런 컴백 이승연, "연기가 배고파" (0) | 2006.01.25 |
【TODAY 스크랩】 남자배우들의 다이어트 백태, ‘뛰고 달리고 굶고 참고… (0) | 2006.01.25 |
【TODAY 스크랩】 '건강검진 안 받으면 10년 후 의료비 2배 더 든다' (0) | 2006.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