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아 사교육의 연령이 갈수록 어려지고 있다. 6~7세를 대상으로 한 영어유치원이나 학습지, 각종
학원이 일반적인 현상이 된 데 이어 최근에는 3~4세까지 파고들고 있다.
서울 송파구의 한 영어음악학원의 모집대상은 생후
5개월부터다. 영아에게 영어노래를 들려주면 영어가 친숙해져 나중에 더 잘 배울 것이라는 부모들의 기대심리를 자극해 원생들을 모집하고 있다. 경기
군포시의 한 영어학원은 생후 18개월부터 그림책과 카드 등을 이용해 부모와 함께 영어를 배우도록 한다. 경기 성남시의 한 수학학원의 수강대상이
24개월부터다. 다양한 교구를 써서 수, 도형, 공간 등의 개념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이다.
만 1~3세 영유아를 위한 초(超)
조기교육으로는 단어카드(플래시카드)를 이용한 한글교육이 수년 전 붐을 이루다 최근 몇 년간 ‘창의성 개발’을 내건 은물, 가베, 프뢰벨 등 놀이
교구가 인기를 누려왔다.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영유아 학원은 놀이와 문자ㆍ수 학습을 결합시킨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현상은 입시를 정점으로 한 선행학습이 갈수록 조기화하는 연쇄작용의 결과다. 7세 딸에게 독서교실과 한자 그룹과외를 시키는
주부 김모(40ㆍ경기 고양시) 씨는 “초등학교에 들어가고 학년이 올라가면 가르쳐야 할 게 너무 많기 때문에 글짓기 같은 것은 미리 해둬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우리나라는 5세(만 3~4세)면 유치원에 들어가 한글과 영어, 수 등을 배우고 피아노, 미술 등 특기교육을
병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등학교 입학 직전인 6~7세가 되면 따로 그룹과외나 학원을 통해 독서교실, 한자 등을 시작한다. 논술에 대비한 조기
교육이다. 철학, 마인드맵, 동화구연 학습도 7~8세면 이뤄진다. 구술면접을 겨냥한 것이다.
외고, 과학고 등 특수목적고를 가려면
중 1년부터 사설학원의 ‘특목고반’에 들어가 준비해야 하고, 이를 위해 초등 고학년부터는 교내 경시대회나 과외과목을 선별적으로 ‘조직’해야 하기
때문에 “대학 진학은 초등 4년 때 결정된다”는 말이 불문율처럼 돌고 있다. 연쇄적인 선행학습과 학부모의 조급증이 결과적으로 만 1~3세
유아교육까지 낳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조기교육이 청소년기 학업성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이화여대
유아교육학과 이기숙 교수는 “유아기에 문자(한글)와 수를 조기 학습한 아이들과 학습하지 않은 아이들을 추적 관찰해 초등 5년과 중 1년 때
모의고사를 실시한 결과 국어 수학 성적은 큰 차이가 없고, 사회성은 조기교육을 받은 아이들이 더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동덕여대 우남희 교수가 조사한 만 4세, 7세 어린이의 영어교육 실험연구에서도 학습효과나 발음 면에서 7세 아동이 월등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우 교수는 “노래나 게임 등 놀이중심으로 가르쳐도 4세 아동은 놀이로만 받아들일 뿐 영어학습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대목동병원 소아정신과 김의정 교수는 “학습문제로 병원을 찾는 신규 환자가 한 달에 10~15명이며 대부분 틀에 박힌
교육에 처음 노출된 만 2~3세 아이들”이라며 조기교육의 부작용을 지적했다. 그는 “엄마의 의지에 따라 어려서부터 학원교육을 받았다가 초등학교
고학년 때 공부에 싫증을 느껴 병원을 찾는 아이의 경우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김희원 기자 hee@hk.co.kr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아이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출처-[한국일보 2006-05-10 19:03]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
'♡피나얀™♡【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이는 아이와 의사소통 지름길 (0) | 2006.05.13 |
---|---|
[유아교육 超조기화] 전문가들은 어떻게 자식 가르쳤나 (0) | 2006.05.11 |
'반성 의자'라고 들어보셨나요? (0) | 2006.05.11 |
아이들 머리 손질 어떻게 해결할까 (0) | 2006.05.09 |
[출산율 1.08 쇼크]이대로 가면 한국사회는… (0) | 2006.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