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긋지긋한 ‘무좀의 계절’이 다가왔다. 따뜻한 날씨에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요즘 같은 날이면 무좀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걱정이 태산이다.
두꺼운 등산화라도 챙겨 신고 산에 오르려면 그날은 ‘무좀과의 전쟁’을 각오해야 할 판이다. 다 나았나 싶으면 슬그머니 고개를 내미는 무좀.
여느 난치병 못지 않게 재발률이 높은 이 여름 불청객을 멀리하는 방법은 없을까.
#도대체 무좀이 뭐야
무좀은 의학용어로 족부백선이라 하며, 각질층에 기생하는 곰팡이균(진균)이 원인이다. 쉽게 설명하면, 발에 곰팡이가 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곰팡이균은 덥고 습기 찬 곳에서 잘 자란다. 영양분, 온도, 적절한 습도를 조화롭게 갖춘 발바닥은 곰팡이균이 성장하는 데 최적의 장소이다.
발 곳곳에 있는 굳은살과 각질은 곰팡이균의 영양분이 되고, 하루 종일 신고 있는 신발 속 발은 자연스럽게 습도와 온도가 유지된다.
무좀은 전염성이 강해 가족 중 한 명이 무좀에 걸리면 다른 가족들도 무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또 수영장, 헬스장, 사우나 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 수건 슬리퍼 등을 통해 전염되기도 하는데, 공공 시설을 다녀온 후에는 발의 물기를 확실히 건조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무좀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첫째, 발가락 사이에 생기는 ‘지간형’으로 가장 흔한 형태이다. 셋째와 넷째 발가락 사이에 많이 생기며, 바르는 항 진균제 만으로도 잘 치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은 물집이 생기는 ‘소수포형’으로 수포 안에는 점액성의 노란 진물이 들어있다. 끝으로 발바닥의 각질층이 두터워지는 ‘과각화형’이 있다. 가려움증이 심하지 않고 만성적이며, 일반적인 바르는 무좀약에는 잘 반응하지 않는다. 스타킹을 신는 여성에게 흔히 나타난다.
#무좀, 이제 그만 떨어져
무좀은 습기에 민감한 만큼 발을 씻은 후에 수건으로 발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양말을 신는 것이 중요하다. 발가락 사이사이 물기도 꼼꼼히 없앤다. 신발은 여러 켤레를 준비해 교대로 신는 것이 좋은데, 한 켤레만 계속 신을 경우 통풍이 어려워 내부에 습도가 높아진다.
여성의 경우에는 스타킹을 장시간 착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스타킹은 수분을 전혀 흡수하지 못해 발에 생기는 땀 때문에 무좀균이 심해질 수 있다. 여름철 맨발로 외출할 때에는 발에 파우더를 뿌려주는 것이 좋다.
무좀은 완치가 가능하다. 무좀이 걸리면 과격한 치료는 피하고 의사에게 처방받은 약을 충분한 기간 동안 꾸준히 바르고 먹는 것이 중요하다.
먹는 항진균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1개월, 바르는 약으로만 치료할 경우 2개월 정도 치료해야 한다. 보기에는 무좀이 없어진 것 같아도 곰팡이가 한동안 살아남아 있다가 재발할 수 있다.
무좀을 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자가 처방으로 약을 구입하거나 시중에 유통되는 연고를 바르는 경우가 있는데, 연고에 포함된 스테로이드 성분은 피부 면역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오히려 무좀을 악화할 수 있다.
◆무좀치료 6계명
1. 발은 매일 씻고 완전히 말려라
2. 가급적 발가락 사이에 땀이 차지 않게 하라
3. 면양말을 자주 갈아 신어라
4. 통풍이 잘 되는 신발을 신어라
5. 신발에 무좀균을 제거하라
6. 꼭 끼는 신발은 피하라
ⓒ 세계일보&세계닷컴(www.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출처-[세계일보 2006-05-14 11:42]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
'♡피나얀™♡【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의 반란 일찍 발견만 하면 '초동 진압' (0) | 2006.05.14 |
---|---|
붉은색 싫어지면 열정이 사라진것 (0) | 2006.05.14 |
우리나라 여성 60% 피부관리 기초 부족 (0) | 2006.05.13 |
땀 때문에 종이가 찢어질 정도, 남모르는 다한증환자의 고통 (0) | 2006.05.13 |
성년의날…첫키스의 설렘보다 몸관리에 책임지는 날 (0) | 2006.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