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나얀™♡【여행】

도시 기행①푸른 지중해의 미항, 마르세유

피나얀 2006. 5. 20. 03:12


마르세유가 역사의 전면에 드러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600년 '마실리아'라는 이름부터다. 작은 만을 다스리고 있던 부족장의 딸은 어느 날 불쑥 먼 바다에서 찾아온 구릿빛 선원을 배필로 선택했다.

 

천혜의 입지 조건을 갖춘 작은 만은 자연스레 그리스의 식민지로 지중해 무역의 거점이 됐다. 그 후 마르세유는 로마제국의 일부가 되어 십자군 원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프로방스의 군주 킹 르네(King Rene)의 지배를 거쳐 15세기에 프랑스의 영토로 편입됐다.

 

지중해에서 가장 중요한 무역항이자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항구인 마르세유는 부와 권력을 거머쥐었지만 그로 인한 불행도 끊이지 않았다. 마르세유 구항의 입구를 지키는 생 니콜라 요새(Port St. Nicolas)와 생 장 요새(Port St. Jean)는 외적으로부터 마르세유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자세히 보면 포문이 바다가 아니라 도시를 향하고 있다. 한때 독자적인 공화국을 이루기도 했던 마르세유는 항상 독립에 대한 열망이 강했고, 그를 실현시킬 수 있는 부도 갖추고 있었다.

 

그래서 1660년 마르세유를 장악한 프랑스 왕정은 한시도 감시의 눈을 떼지 않았다. 마르세유 시청의 파사드에는 이 도시 출신의 피에르 퓌제(1620-1694)가 조각한 루이 14세가 아직도 의심 많은 시선으로 항구를 바라보고 있다.

 

 

자유를 갈망하는 마르세유의 정신이 기치를 올린 것은 프랑스혁명 때였다. 분연히 일어선 600여 명의 의용군은 파리까지 행군하는 동안 목청을 드높여 노래를 불렀다. '가자, 조국의 아이들아. 영광의 날이 왔다.' 사람들에게 힘과 용기를 되살려주었던 마르세유 군단의 노래는 현재 프랑스의 국가 '라 마르세예즈(La Marseillaise)'가 됐다.

 

구시가지 도보 관광

 

구 시가지의 도보 관광은 구항 정면의 관광안내센터에서 시작됐다. 각 블록의 코너마다 붙어있는 안내판에는 '남루한 옷차림의 거리', '벙어리 여인들의 거리' 등 익살스런 이름들이 눈에 띈다.

 

전자는 당시에 가난한 사람들이 많이 살았던 것이 이유이고, 후자는 골목에 의자를 내놓고 수다삼매경에 빠지곤 했던 부인네들을 풍자한 이름이다. 햇빛을 피하기 위해 좁게 만들어진 골목에는 지금도 이 풍경이 계속된다.

 

차광장(Place des Moulins)은 15개의 마을 공용 풍차 방앗간이 있던 장소다. 미스트랄의 힘으로 곱게 빻아진 밀가루는 공동 작업을 통해 한 달치의 식량으로 바뀌어 집마다 공평하게 분배되곤 했다. 지금은 풍차 날개가 사라진 건물만 남았다.


17세기에 세워진 구 자선원(Vieille Charite)은 부랑자나 고아들을 수용하는 곳이었다. 프렌치 바로크 스타일의 거대한 라임스톤 건물에 400여 명의 고아들이 공동생활을 했던 큰 규모의 자선시설이었다.

 

 그 비용을 부자들의 기부금으로 해결할 수 있을 만큼 마르세유는 부유했다. 지금은 전시회 등이 열리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시가지 도보관광은 바닥에 그어진 붉은 선을 따라가는 두어 시간 코스지만 마르세유 사람들의 삶의 풍경을 엿보는 재미에 푹 빠지면 시간을 장담할 수 없다.

 

빵 냄새와 소시지 냄새가 가득한 골목길에서 빈 의자를 발견하면 어찌 쉬었다 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Tip 관광열차

 

마르세유, 아비뇽, 까시스처럼 관광객이 많은 도시에는 작은 증기선 모양의 미니 열차(Petit Train)를 운행한다. 마르세유의 경우, 노트르담 드 라 가르드 성당, 구항구, 생 빅토르 사원을 도는 기차(50분 코스)와 마르세유 구 시가지와 대성당, 구 자선원 등을 도는 기차(40분 코스)가 있다. 아비뇽에서는 교황 궁전에서 출발해 로셰 데 돔 공원, 구 시가지 중심, 생 베네제 다리 등을 도는 2대의 미니 기차를 운행하고 있다.

 

 

 

 

 

 

 

 

 

 

사진/김주형 기자(kjhpress@yna.co.kr), 글/천소현(프리랜서)

(대한민국 여행정보의 중심 연합르페르, Yonhap Repere)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출처-[연합르페르 2006-05-19 1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