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나얀™♡【육아】

주말농장에서 맛보는 수확의 기쁨

피나얀 2006. 8. 16. 21:42

 

출처-[경향신문 2006-08-16 15:51]

 

 


한낮의 뙤약볕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텃밭에서 사는 사람들이 있다. 주말농장을 분양받아 가꾸는 도시인들이 그들이다.

 

주말농장은 아이들의 자연체험학습장으로, 주부에겐 농약 걱정없이 식탁을 차릴 수 있는 무공해 텃밭으로, 가장에겐 가족과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

 

“수확한 채소를 나눠먹으며 이웃끼리 친해지고, 농장에서 새로운 이웃을 만나 주말이면 밭 한쪽에선 유쾌한 저녁식사가 벌어지지요.”

 

고양시민회에서 운영하는 주말농장을 담당하는 문경선 간사는 주말농장이 “도시민들의 새로운 여가공간이 되고 있다”며, 주말농장 가꾸기를 적극 권한다. 요즈음 주말농장은 밭 한쪽에 차양이나 그늘막, 바비큐를 할 수 있는 시설을 대부분 갖추고 있다.

 

4인 가족기준으로 3~5평에 상추, 깻잎 등 잎채소를 심으면 일주일에 한번씩 두 세집이 먹을 만큼의 양을 수확할 수 있다. 오이·상추·고추·깻잎·호박잎 등 쑥쑥 자란 채소로 텃밭이 가득한 요즈음은 고기와 밥만 들고 오면 야채는 모두 농장에서 갓 수확한 것으로 해결된다.

 

주말농장은 농협, 농업기술센터, 시청, 구청, 전국농업기술자협회, 고양시민회 등 매우 많은 단체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개인이 운영하는 주말농장도 많다. 임대 조건은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주말농장의 임대 평수는 3~5평 정도이고, 평균 임대가격은 평당 1만~2만원이다. 단 ‘하이서울친환경농장(www.seoul.go.kr 서울시 농수산유통과 3707-9385~6)’은 1계좌(5평) 임대분양 가격이 2만5천으로 가장 저렴하다.

 

한강상수원의 수질 보전을 위해 서울시가 운영하는 가족 농장으로 서울시에서 2만5천원을 지원해주기 때문이다. 서울시민만 가능하고, 매년 1월에 모집하며, 광주시, 양평군, 남양주시의 팔당 상수원지역에 위치한 14개 주말농장이다.

 

주말농장 임대기간은 봄 파종이 시작되는 3~4월부터 가을 수확이 끝나는 11월말까지로 두번의 파종과 수확시기를 갖게 된다. 대부분 봄에 임대분양을 하지만 김장채소재배가 시작되는 8월에 단기모집을 하는 곳도 있다.

 

임대가격은 60%선으로 3만~5만원 정도. 주말농장을 선택할 때는 집 근처의 텃밭 개념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주말여행과 겸해 농촌체험을 목적으로 할 것인가부터 정해야 한다.

 

농협중앙회에서 주말농장을 담당하고 있는 신현동 차장은 “먼거리에 주말농장이 있으면 자주 가지 않아도 되는 작물(감자·고구마·옥수수 등)을 심고 반대로 자주 갈 수 있는 곳이라면 잎채소류(상추·시금치·쑥갓 등)를 심으면 일주일마다 수확하는 재미가 좋다”며 주변 경관이나 임대 조건이 마음에 드는데 단지 거리가 멀어서 주저할 필요는 굳이 없다고 한다.

 

#서울특별시농업기술센터

 

 

 

서울시내 25개의 농장이 있으며 9개 지역 구청으로 분산되어 있어 집 가까운 곳에 농장을 분양받을 수 있다. 회원은 3~4월경 각 농장별로 모집하는데 옥천텃밭농장(강서구), 하이건강텃밭농장(송파구) 등 현재 11개 농장에서 ‘가을김장채소텃밭회원’(1계좌 3만~5만원)을 모집하고 있다.

 

밭갈이 및 이랑 만들기, 밑거름주기, 종자, 비료, 모종 준비는 농장에서 해주며 씨뿌리기, 모종심기, 솎아주기, 웃거름, 김매기, 물주기, 수확은 회원의 몫이다. 서울농업기술센터에서는 작물별 연중 재배기술 상담과 주요 작업요령 등의 교육을 한다.

 

회비는 한 계좌(3~5평)당 5만~12만원, 문의 서울특별시농업기술센터(02-459-6754, agro.seoul.go.kr)

 

 


#전국농업기술자협회

 

강동구청 지정으로 초록텃밭 주말농장(강동구 강일동)을 운영하고 있다. 모종과 씨앗은 분양회원이 각자 구입해야 하며, 일부 모종과 씨앗은 농장에서 판매한다. 회원 대상으로 봄과 가을에 농촌체험 투어를 하며, 여행경비의 일정부분을 협회가 지원한다.

 

다른 곳과의 가장 큰 차별은 체계화된 농업교육. 8월10~9월2일까지 도시민을 위한 제4차 ‘도시민 웰빙농사교육’을 한다. 5차는 9월7~30일, 6차는 10월12~11월4일이며 교육은 4주간으로 매주 이론교육 2회, 실습교육 1회로 진행된다. 교육비는 강의료·교재비·견학비와 주말농장 1계좌 분양(씨앗·모종·퇴비 제공)을 포함해 1인당 10만원이다.

 

교육은 목·금요일 저녁 7~10시, 토요일 오후에는 초록텃밭 농장에서 파종 및 모종심기, 제초 및 순지르기 등 가을채소 재배관리에 대한 실습을 한다. 또 직접 기른 친환경농산물을 이용해 간장, 된장 등 여러 가지 건강 전통가공식품을 만들기도 한다. 주말농장 모집은 매년 3~4월경. 회비 한 계좌(4평)당 5만원, 문의 전국농업기술자협회(02-794-7270, www.kafarmer.or.kr)

 

 

#농협중앙회

 

단위농협을 중심으로 서울·경기·인천지역 134개, 강원지역 21개, 부산·울산·경남지역 40개 등 321개의 주말농장이 등록되어 있다. 농협에서 모집하는 주말농장은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고 팜스테이가 가능하며, 텃밭뿐 아니라 유실수, 사슴·염소 등도 분양하고 있어 다양한 농촌체험이 가능하다.

 

전국적인 주말농장 임대면적은 가족당 5평, 10평으로 임대가격은 평당 1만원 내외다. 모집은 매년 3~4월경. 문의 농협중앙회(02-2080-5586, www.nonghyup.com)

 

■주말농장 가입시 확인하세요

 

1.농장위치, 분양평수, 평당가격, 분양대금외 추가비용

2.종묘, 종자 판매 유무

3.평소 농장관리를 해주는지의 유무

4.주말에 농장주가 상주하여 영농지도를 해주는지 유무

5.준비해야 할 물품

6.농장내 식사 장소의 유무

7.편의시설/주차장, 휴게소(원두막, 그늘막), 화장실, 세면장, 스프링쿨러(물조리개), 쓰레기분리함, 소농기구(호미, 모종삽, 전자가위, 칼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