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2006년 11월 18일(토) 12:01 [헤럴드생생뉴스]
`싸가지녀`혹은`여성`이라는 이름의시대 "꼬라지하고는…" 당당한 그녀가 뜬다 전통적인 여성상, 이젠 안녕~
"꼬라지 하고는…"`환상의 커플` 한예슬이 경멸적으로 내뱉는다. 듣는 상대는 뼈에 사무치게 모욕적이다. 이 대책없는 `왕싸가지녀`는 어디서 왔을까. 안하무인, 오만방자, 유아독존, 개념상실, 예의상실 캐릭터. 거액의 유산을 상속받은 이 젊은 여성은 돈에 집착하며 주변 사람들을 하인 대하듯 부리고 생각나는 대로 말하며 하고 싶은대로 행동한다.
시청자 서남용씨(33ㆍ만화가)는 "극중 안나는 속된 말로 `재수없고 싸가지 없는 악녀` 유형이다. 하지만 누구나 한번쯤 품어봤음직하지만 남의 시선이 두려워 꺼내지 못했던 마음을 솔직하고 직설적으로 드러낸다"며 "한예슬의 호연과 더불어 이 캐릭터가 인기를 누리는 이유"라고 말했다.
극은 지방 출신의 촌스런 여성이 뉴욕으로 가서 일약 미국 최고의 패션잡지에서 촉망받는 신입사원이 됐다가 결국 소박한 일상과 가난한 옛 연인에게로 돌아간다는 결말로 흐르지만 여성관객들의 공감을 산 것은 `사필귀정`의 엔딩이 아니다.
프라다에서 캘빈 클라인, 마놀로 블라닉, 지미추 등 화려한 명품브랜드를 향한 욕구와 악마같은 직장 상사 밑에 있는 신입사원의 심리를 담은 뛰어난 리얼리티였다.
여성들이 한번쯤 품었음직한 로망이다. 남성들은 이러한 여성상을 가리켜 `된장녀`라고 단죄했다. 일부에서는 `된장녀`라는 악의에 찬 호명 뒤에는 남과 다른 취향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태도와 여성들의 욕망을 충족시켜줄 수 없는 남성들의 좌절감이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그렇다면 `싸가지녀`는 남성적 시선으로부터 이탈한 여성의 욕망을 여성 스스로 긍정하고 주체화한 결과이다. 여성비하적 담론에 대한 일종의 응전이자 `전복`인 셈이다.
신데렐라의 언니들은 이름이 잊혀졌고 `팥쥐`는 비난받았으며 `이라이자`는 악녀의 대명사가 됐다. 남자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던 가장 큰 문제는 어쩌면 이들에게는 남자들이 필요없거나 남자들이 들어설 자리가 크지 않다는 사실인지도 모른다. `싸가지녀`는 신데렐라와 콩쥐, 캔디를 대신한 모든 팥쥐들과 이라이자들의 다른 이름이다.
부와 권력, 명예를 향한 모든 사람의 욕망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비호감` 캐릭터를 매력적으로 보여준다. `여성의 욕망을 부끄럼없이 말하자`는 모토는 삼순이의 복제와 변형인 `여우야 뭐하니`의 병희(고현정 분)라는 인물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홀아버지와 아들이 한 여성의 몸과 마음을 얻기 위해 티격태격한다는 설정의 도발성은 야수처럼 공격하는 남성과 이를 줏대없이 받아들이기만 하는 수동적인 여성상에서 한 발 뒤로 물러난다. 영화 내내 여성의 몸은 `정복해야 될 고지`로만 묘사된다. `누가 그녀와 잤을까`라는 질문은 그녀를 갖고 싶은 남성의 (다소 치사해보이는) 관심사이지 여성의 궁금사항은 아니다.
이와는 달리 `전통적인 모성`으로 회귀하는 시도들도 잇따르고 있는데 `열혈남아`와 `해바라기`는 조폭으로 살아왔던 거친 생을 어머니의 이름으로 반성한다.
|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
'♡PINAYARN™♡ 【이성(연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그레이가 말하는 ‘여자와 남자 모두 행복해지는 법’ (0) | 2006.11.20 |
---|---|
평범한 연애지만 괜찮아 (0) | 2006.11.20 |
한국 문화 중심에 선 30대 여성 30대 여성이 온다 (0) | 2006.11.08 |
행복헌장 10계명, 한번 따라해보세요 (0) | 2006.11.01 |
좋은 습관이 ‘성공의 씨앗’ 된다 (0) | 2006.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