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헤럴드경제 2007-01-30 14:05]
천식
전세계 30억명 고통… 한국선 매년 4천명 사망 환경오염이 주범… 환기는 자주 침실 서늘하게
지난 27일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에서는 아시아태평양 10개국의 천식 환자그룹 대표와 간호사, 사회사업가, 환자보호자들로 구성된 아시아천식환자연합(AAPC)이 출범했다.
현재 전 세계 3억명의 사람들이 천식으로 고통받고 있는 실정. 지난해만 약 25만명의 천식환자들이 느닷없이 목숨을 잃었고, 오는 2025년에는 1억∼1억5000만명의 사람들이 새롭게 천식 환자군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어 그 심각성이 다른 지역보다 훨씬 높다. 아시아 전역에 소리ㆍ소문없이 퍼져가는 천식의 공포, 그 원인과 증상 그리고 생활 속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천식 “알고 나면 에이즈 보다 무섭다(?)”=
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 질환으로, 제대로 조절되지 않으면 일상 생활에 심각한 제약을 주고 때로는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전 연령층에 걸쳐 나타나고, 나이 들어 갑자기 발병하기도 한다.
프로레슬링 세계챔피언으로 유명한 이왕표 선수(51ㆍ한국 프로레슬링협회 회장)는 마흔살이 넘어 갑작스럽게 천식 증상이 나타나 심각하게 은퇴를 고민하기도 했다. 이번 AAPC에 한국측 천식홍보대사로 참석한 이 선수는 “천식을 감기나 독감으로 잘못 알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며 “국내에서도 체계적인 천식 치료시스템이 절실하다”고 언급, 천식 환자들을 돕기 위한 연합회 구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20명 가운데 1명이 천식을 앓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300만명이 천식으로 고통받고 있다. 대한천식협회 통계로는 매년 4000명 이상의 환자들이 천식으로 인해 목숨을 잃고 있다. 천식과 관련된 직ㆍ간접 치료비용도 수년내 결핵과 에이즈(AIDS)를 합한 비용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증상과 치료=
천식환자들은 보통 쌕쌕 숨을 몰아쉬며 심한 기침, 그에 따른 호흡곤란 등을 호소한다. 주로 밤과 새벽 시간에 심하다. 중증 이상의 천식은 호흡곤란을 일으켜 생명에 위협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평상시 관리가 중요하다. 천식을 앓고 있는 사람은 독감과 급성 기관지염에 걸리기 쉽다. 증세가 가벼운 천식이라도 금세 중증 이상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의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천식 치료는 원인을 찾아내는 게 급선무인데, 알레르기 때문이라면 어떤 종류인지 검사를 실시해 일단 환경요소를 조절해야한다.
▶환경요소 개선 방법=
대기오염, 알레르기 원인물질 증가 등 천식을 발생시키는 환경적 요인도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새집증후군으로 인한 천식 및 알레르기 증상 악화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예전에는 주로 먼지나 곰팡이에 의한 호흡기 환자들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호흡기 환자가 급속히 늘어나는 추세다.
따라서 천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학물질 사용을 자제하는 한편 주변에서 천식 유발인자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천식 방지를 위해 주변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것들 -
카페트를 자주 그리고 규칙적으로 진공청소기로 먼지를 흡착시키세요.
세탁이 가능한 경우에는 아토세이프 섬유청정제로 세탁하여 줌
-침실을 자주 그리고 철저하게 환기시키세요.
-가능하다면 섬유제품은 생활공간에서 제거하십시오.
-실내장식품은 금기
-무엇보다도 침실을 서늘하게 유지하십시오.
-실내화초와 멀리 떨어지세요.
-환기를 자주 시켜준다.
|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
'♡피나얀™♡【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를 위한 두뇌건강 증진법 10가지 (0) | 2007.01.30 |
---|---|
스트레스, 낙천적인 당신도 ‘소리없이’ 당한다 (0) | 2007.01.30 |
'트랜스 지방 제로', 믿어도 되나 (0) | 2007.01.30 |
직장인 두통…과로,스트레스 위험신호! (0) | 2007.01.27 |
다시 뜨는 콜드크림에 관한 보고서 Power of Massage Cream (0) | 2007.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