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오마이뉴스 2007-03-24 09:35]
다 허물어져 가는 슬레이트 집이라도 봄이 찾아와서 담장에 몇 줄기가 뻗어 개나리꽃이라도 피면 꾀죄죄한 남루를 벗고 화사한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딱딱한 콘크리트 보도블럭 틈에 민들레꽃 한 송이라도 피어있으면 삭막한 마음에 온기가 돕니다.
멋스러운 우리 한옥에 꽃이 피어있는 풍경이야 더 말할 것도 없겠지요. 한옥이 가진 향기에 꽃 향기까지 더해진 풍경은 삶에 지친 우리의 마음을 다독여주고 각박한 마음에 여유를 주기도 합니다. 23일 고택의 봄을 찾아 발길을 옮겨봤습니다.
멋스러운 우리 한옥에 꽃이 피어있는 풍경이야 더 말할 것도 없겠지요. 한옥이 가진 향기에 꽃 향기까지 더해진 풍경은 삶에 지친 우리의 마음을 다독여주고 각박한 마음에 여유를 주기도 합니다. 23일 고택의 봄을 찾아 발길을 옮겨봤습니다.
![]() |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동춘선생 고택동춘고택 우측 담장에 세운 일각문 앞 풍경 |
ⓒ2007 김유자 |
![]() |
ⓒ2007 김유자 |
![]() |
▲ 동춘고택 별묘 뒤의 대숲 |
ⓒ2007 김유자 |
![]() |
▲ 호연재 김씨(1681~1722)의 시비 주변 풍경. 시비는 동춘고택과 송용억 가옥 사이에 있습니다. |
ⓒ2007 김유자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동춘선생 고택 주변의 풍경입니다. 동춘고택은 조선 효종때 경연관 병조판서 등을 지낸 예학의 거두 동춘당 송준길(1606~1672) 생이 관직을 물러난 후 거처하던 곳으로 보물 제 209호 동춘당의 뒷쪽에 있습니다.
![]() |
▲ 대전광역시 민속자료 제2호 송용억 가옥 큰 사랑채 앞 살구나무 |
ⓒ2007 김유자 |
![]() |
▲ 송용억 가옥 큰 사랑채 소대헌 담장 옆의 매화나무들 |
ⓒ2007 김유자 |
대전광역시 민속자료 제2호 송용억 가옥 주변의 풍경입니다. 동춘당 송준길의 둘째 손자 송병하가 분가하여 거주하기 시작 현재 11대손까지 살고 있는 집이지요.
이 집의 영산홍과 자산홍은 아름답기로 소문이 자자합니다. 벌써부터 영산홍이 피는 5월이 기다려집니다.
이 집의 영산홍과 자산홍은 아름답기로 소문이 자자합니다. 벌써부터 영산홍이 피는 5월이 기다려집니다.
![]() |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호 남간정사의 풍경 |
ⓒ2007 김유자 |
![]() |
▲ 남간정사 솟을대문 옆의 목련나무 |
ⓒ2007 김유자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호 남간정사는 낮은 야산 기슭 골짜기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조선 후기의 대유학자 우암 송시열(1607 ~ 1689) 선생이 강학하던 유서깊은 곳입니다.
이곳 솟을대문 옆에는 아주 키가 큰 목련나무가 있어 해마다 봄이면 흐드러지게 꽃을 피웁니다. 아직 목련이 만개하지는 않았습니다만 지금 핀 상태만으로도 충분히 우아하고 아름답습니다.
이곳 솟을대문 옆에는 아주 키가 큰 목련나무가 있어 해마다 봄이면 흐드러지게 꽃을 피웁니다. 아직 목련이 만개하지는 않았습니다만 지금 핀 상태만으로도 충분히 우아하고 아름답습니다.
![]() |
▲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호 삼매당 앞 목련나무 |
ⓒ2007 김유자 |
문화재자료 제1호 삼매당은 조선 선조때 연원도 찰방을 지낸 박계립(1600~?)이 지은 건물입니다. 소제동에 있던 기국정과 서로 바라다 보이는 곳에 있었으나 하천변이라 침수의 우려가 있어 선생의 9대손 박태흥이 1930년에 간정사의 맞은 편 언덕 동대전중학교 옆으로 옮겨놨습니다.
이곳의 옥매화는 아직 피지 않았더군요. 워낙 호젓한 곳에 있다 꽃이 핀다고 반겨줄 이도 없을 듯 합니다만, 반겨주는 이 없다고 설마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지는 않겠지요? 옥매화 피는 날에 다시 가서 고택의 외로움을 달래주고 싶답니다.
이곳의 옥매화는 아직 피지 않았더군요. 워낙 호젓한 곳에 있다 꽃이 핀다고 반겨줄 이도 없을 듯 합니다만, 반겨주는 이 없다고 설마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지는 않겠지요? 옥매화 피는 날에 다시 가서 고택의 외로움을 달래주고 싶답니다.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
'♡피나얀™♡【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덟 신선이 바다를 건넜다는 '팔선과해' (0) | 2007.03.24 |
---|---|
사계절이봄 중국곤명이부른다 (0) | 2007.03.24 |
봄철 산악사고 예방 10계명 (0) | 2007.03.23 |
정상에서 외쳐라 "사랑海” (0) | 2007.03.23 |
봄꽃보러 가볼까 (0) | 2007.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