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르페르 2007-03-30 08:59]
|
라오스인은 짙은 안개 속에 파묻혀 신비감을 주는 산수(山水)처럼 오랫동안 문명세계와 단절된 삶을 살아왔다. '은둔의 땅'이라 불리는 이곳에 들어서면 시간을 50년 전쯤으로 돌려놓는 여유가 필요하다. 그들이 사는 시간과 생활의 속도에 여정을 맞추지 못한다면 라오스의 진면목을 제대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수십 년간 모습을 감춰온 은둔의 땅 라오스. 동남아 최대의 관광지인 태국과 앙코르 와트를 품은 캄보디아, 산자수려한 베트남 사이에 끼인 라오스는 바다와의 거리만큼이나 상대적으로 여행자들의 관심에서 배제되어 왔었다.
더구나 한국의 50년 전쯤 모습처럼 발전이 정체된 땅이라는 이 나라에 대한 이야기는 이곳으로의 발걸음을 더욱 더디게 했는지도 모른다. 600여년 전 남아시아의 최대 강국이었던 란쌍(Lane Xang)왕국. 그러나 지금은 은둔과 정체의 땅, 지구상에서 가장 가난한 불교국으로 알려진 땅. 과연 이곳에서 무엇을 보고 찾아가게 될까?
◆파리 개선문 닮은 '파투싸이'
수도 비엔티안(Vientiane, 달의 도시)을 향해가는 도로 양쪽으로는 농부들이 허리를 잔뜩 구부린 채 모를 심고 있었다. 모가 가지런하게 심어진 들판은 한국 농촌의 봄풍경과 흡사하다. 군데군데 하늘을 향해 넓은 잎을 펼친 열대의 식물들을 제외한다면 멀리서 본 이들의 모습은 우리와 무척이나 닮아있다.
30여분을 달려 비엔티안 시내로 접어들었다. 허름해 보이는 낮은 건물들과 남루한 차림의 사람들, 도로를 빽빽하게 메운 자동차와 뚝뚝. 중앙선도 없는 도로에서는 뚝뚝들이 자동차 옆을 곡예하듯 아슬아슬하게 지나쳐간다.
하늘을 찌를 듯한 빌딩은 찾아볼 수 없었지만 '볼 것 없고 비싸기만 하다'는 어느 여행안내자료가 안겨준 인식 때문이었는지 오히려 라오스의 수도는 번화함마저 느끼게 한다. 식당 앞 큰길가에 놓인 식탁에 앉아 식사와 음료를 즐기는 모습은 이채롭다. 프랑스 식민지 시절 들어온 유럽식 문화가 그들의 생활에 남아있는 탓이었다.
느닷없이 프랑스 파리의 개선문을 연상시키는 거대란 건축물이 시야를 가로막았다. 둘레로 초록 잔디공원을 조성해놓은 개선문을 닮은 콘크리트 건축물은 아이러니컬하게도 1958년 프랑스로부터의 독립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파투싸이(Patouxai)'라 불리는 독립기념문이었다.
![]() |
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벗어나며 제국의 상징인 개선문을 옮겨다 놓은 것이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 건축물에는 미국이 공항 건설을 위해 라오스에 지원한 달러 중 일부가 몰래 사용되었다고도 한다.
파투싸이 아래에 서서 올려다보니 천장에는 비슈누, 브라마, 인드라 등의 힌두교 신들과 머리가 셋 달린 코끼리가 새겨져 있다. 불교 국가에서 세운 건축물에 힌두교 신들을 세긴 것이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살아 움직이는 듯한 정교함은 황홀할 뿐이다.
각 층마다 기념품을 파는 가게들을 지나 꼭대기에 오르자 야자나무에 뒤덮인 비엔티안 시내가 내려다보인다. 야자나무의 초록빛 사이로 회색 건물들이 군데군데 보이지만 비엔티안은 열대의 정글에 파묻혀 문명과는 단절된 도시 같다.
◆ 재래시장의 진귀한 먹을거리
라오스의 재래시장은 색다른 즐거움을 준다. 비엔티안의 통칸캄(Thongkhankham) 시장이나 농두앙(Nongduang) 시장 등 도로변의 아무 재래시장이라도 들러본다면 좌판에 진열된 물건들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말린 박쥐와 살이 통통하게 오른 들쥐, 꼬챙이에 여러 마리를 끼운 개구리 튀김, 살쾡이와 오소리, 아름다운 깃털을 가진 산새 등 진귀한 먹을거리들과 메콩 강이나 주변 호수에서 잡은 어린아이 만한 메기와 이름 모를 거대한 민물고기들을 지켜보는 것만도 흥미롭다.
또 재래시장에서 바게트를 팔고 있는데 이는 프랑스가 라오스인에게 남겨준 거의 유일한 기술이라고 한다. 재래시장에서는 무엇보다도 우리와 닮은 그들의 삶을 엿볼 수 있다. 배추와 풋고추, 붉은 고추, 파, 마늘, 양파, 콩, 파래 등과 심지어 풋고추를 썰어 넣은 물김치와 청국장과 비슷한 맛이 나는 된장까지도 판매하고 있다. 한국의 시골 장터를 찾아온 듯한 착각이 인다.
![]() |
"라오스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것은 순수 자연산입니다. 천연 무공해 식품이지요. 그래서 어릴 때 죽거나 전염병에 걸려 죽는 것을 제외한다면 한국인보다 장수할지도 모릅니다. 깨끗한 공기를 마시고 오염되지 않은 자연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이죠." 라오스에서 거주하는 한국인의 설명이다.
재래시장은 아니지만 비엔티안 최대의 시장인 '아침시장(타랏사오, Morning Market)'으로 향했다. 이름은 아침시장이지만 영업은 하루 종일 하는 상설시장으로 라오스인과 관광객이 뒤섞여 혼잡한 풍경을 보여주고 있었다. 국적 불명의 조악해 보이는 기념품을 비롯해 책과 전자제품, 생필품, 섬유제품과 보석이 판매되고 있는데 품질은 그다지 좋아 보이지 않았다. 가장 큰 시장이라는 설명에 비해서는 재래시장보다 흥미가 떨어지는 곳이었다.
◆ 삶을 두 갈래로 나눈 메콩 강
사람들로 북적이는 시장을 짧게 휘돌아본 후 메콩 강을 따라 길이 이어진 '파응움(Fa Ngum) 거리'로 향했다. 늦은 오후의 강둑 위로는 나무 그늘 아래 탁자와 의자가 놓여있고 사람들이 하나둘씩 빈자리를 채워가고 있었다.
몇 가지 안주를 시켜놓고 라오 맥주를 들이키며 대화를 나누기도 하고, 등을 보인 채 밀어를 속삭이는 연인들도 보인다. 사람들 뒤로는 건기를 맞이한 한겨울의 메콩 강이 느린 흐름의 한가운데 하얀 속살을 드러냈다. 한없이 얕아졌지만 넓은 강폭을 유지한 채 도도하게 흐르는 강 위로는 젊은이들이 누런 물살을 가르며 제트스키를 즐기기도 한다.
따가운 햇살을 피해 나무 그늘 아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앉았다. 멀리 강 건너편은 태국의 농카이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헤엄쳐 넘어갈 수 있는 거리이다. 나라를 2개로 나눠놓은 메콩 강은 삶도 2개로 나누고 있었다.
순간, 분단의 벽에 가로막힌 한반도가 머나먼 인도차이나에서 생각난 것은 무슨 까닭일까? 중국 티베트에서 발원하여 동남아 5개국을 지나는 메콩 강은 라오스에서만 1500km를 흘러가며 라오스인의 삶 속을 유유히 지나고 있었다.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
'♡피나얀™♡【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오스③ 순진무구, 평화로운 미소 (0) | 2007.03.30 |
---|---|
라오스② 불심으로 다져진 황금빛 불탑 (0) | 2007.03.30 |
중국 상하이 (0) | 2007.03.30 |
자유의 냄새가 그립거든 스페인 톨레도로 가라 (0) | 2007.03.30 |
비단 짜는 마을이 나를 기다리고 있다 (0) | 2007.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