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채원배 기자]
3/4분기 전국가구의 실질 소득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0.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계의 실질 소비지출은 1.6% 증가했으며, 도시근로자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3/4분기 기준으로 2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3/4분기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3분기 전국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294만9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1% 증가해 전분기(4.4%)보다 증가세가 둔화됐다.
특히 3/4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2.3%)을 감안한 실질소득은 작년 3/4분기에 비해 0.2% 감소했다. 전국가구의 실질소득이 감소한 것은 전국가구에 대한 조사가 실시된 2003년이후 처음이다.
통계청 최연옥 고용복지통계과장은 "전국가구의 실질소득이 감소한 것은 2002년 3/4분기이후 처음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상위계층의 소득이 둔화된 것이 실질 소득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상여금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줄었다"고 설명했다.
전국가구의 5분위별 소득을 보면 최하위가구인 1분위는 1.7% 증가해 전분기(0.3%)에 비해 증가율이 높아졌으나 최상위가구인 5분위는 1.4% 증가하는데 그쳐 전분기(6.3%)에 비해 증가율이 크게 떨어졌다.
도시근로자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31만원으로 작년 3/4분기에 비해 3.0% 증가, 지난 99년 2/4분기(0.4%)이후 가장 낮았다. 또 도시근로자가구의 실질소득은 0.6% 늘어나는데 그쳤다.
그러나 3/4분기 전국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04만9000원으로 3.7% 증가해 전분기(2.9%)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됐다. 실질 소비지출도 작년 3/4분기에 비해 1.3% 증가했다.
품목별 소비지출을 보면 월세와 집 수리비 등 주거관련 소비지출이 8.4% 증가했으며, 가구가사 사용품은 7.2%, 교양오락비는 9.3%, 교통통신은 10.9% 각각 늘어났다.
반면 식료품 소비지출은 1.9% 감소했고. 잡비도 4.1% 줄었다.
3/4분기 비소비지출은38만8000원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10.2% 증가했다. 내역별로 보면 조세(직접세)가 28.2%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재산세 납부시기가 7월,10월에서 7월,9월로 변동된 데 따른 것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도시근로자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도 215만3000원으로 작년 3/4분기보다 4.0% 증가해 전분기(2.9%)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됐다.
이에 따라 소비지출을 처분가능소득(전체소득-비소비지출)으로 나눈 평균소비성향은 전국 가구의 경우 80.0%로 2003년 통계 조사이후 가장 높았다. 또 도시근로자가구의 평균소비성향도 75.1%로 3/4분기 기준으로 지난 82년 77.0%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한편 재경부는 3/4분기 소득증가세가 둔화된 것은 작년 3/4분기 소득증가세가 높았던 것(7.3%)에 대한 반사효과와 함께 근로소득 증가세 둔화 및 비경상소득 감소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비경상소득이 3/4분기에 10.5% 줄어든 것은 작년 3/4분기 퇴직금 일시정산 등으로 비경상소득이 크게 증가(23.6%)한 것에 대한 반사 효과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채원배기자 cwb@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출처-[머니투데이 2005-11-03 13:48]
'♡PINAYARN™♡ 【TODAY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DAY 스크랩】"넌 진짜 나쁜놈이다..." 아버지의 통곡 (0) | 2005.11.04 |
---|---|
【TODAY 스크랩】예뻐진 이소라 "18kg 감량, 굶어서 뺐다" (0) | 2005.11.03 |
【TODAY 스크랩】김치업계 97% "우린 아닌데.." (0) | 2005.11.03 |
【TODAY 스크랩】'매 맞는 어머니' 누리꾼 경악 분노 (0) | 2005.11.03 |
【TODAY 스크랩】데이트하기 좋은 서울도심 단풍-낙엽 거리 (0) | 2005.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