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차례는 해가 바뀌는 새해 아침에 처음으로 조상에게 음식을올리는
의례이다.
새해에는 대표적인 세찬인 떡국으로 차례상을차린다.
떡국 대신에 시루떡을 올리는 집안도 있다.
고사를 지낼때는 붉은 팥 시루떡을 쓰지만 차례를 지낼 때는
붉은 색이 조상을 쫓는다 해 껍질을 벗긴 팥을 사용해 떡을 찐다.
이밖에 인절미 빈대떡 강정류 식혜 수정과 등도 세찬으로
장만한다.
술은 청주를 쓰고 차례를 지낸 후 가족들이 함께 마신다.
새해 떡국을 올리는 차례상은 원래
술·떡국·포·적·전·(물)김치·과일로 간단히 차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떡국 대신에 밥(메)을 올리는 경우는
국(갱)·탕·국수류(면) 등을 함께 차리기도 한다.
예전에는 원래 설과 추석 등의 차례는 간단히 지내고아버지나 할아버지 등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기(忌)제사를 ?呪냅?격식에 맞춰 성대하게 치렀다.
그러나 근래들어 일반 가정에서 모시는 기제사의 숫자가
줄어들면서 설과 추석의 차례상 차림을 기제사에 준하는 경우가 흔하다.
차례상은 방위에 관계없이 지내기 편한 곳에 차리면
된다.
지방(신위)을 모신 곳이 북쪽이며 제주가 상을 바라보았을 때 오른쪽이 동쪽이다.
제사상을 차리는 진설부터 시작해 신을 강림케하는의식인
강신(降神)과 제사에 참여한 사람이 합동으로 신에게 참배하는 의식인 참신(參神), 신위에 술잔을 올리는 헌작(獻爵),신에게 음식을 드시도록
권하는 절차인 유식(侑食), 신을 보내드리는 작별인사인 사신(辭神)까지 차례절차도 제사에 비해선 간소한 것이 특징이다.
제사상에
음식을 열에 맞춰 놓을 때는 일반적으로 좌포우해(左脯右퀏·포는 왼쪽에, 생선젓(젓갈류)은 오른쪽에 차리는 것)와 어동육서(魚東肉西·생선은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놓는 것),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것), 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 밤 배 감의
순으로 차리는 것) 또는 조율시이(棗栗枾梨·대추 밤 감 배의 순으로 차리는 것)등의 원칙을 따진다.
제수에 향신료인 마늘과 고춧가루, 파
등은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일단, 기제사에 준한 상차림을 살펴보면 신위가 있는 쪽부터 첫줄에는 시접(수저를 담는 그릇)과
잔반(술잔과 받침대)을 놓고떡국이나 메를 올린다.
둘째 줄에는 적과 전을 놓는데 ‘어동육서’라고 해 육류는
왼쪽, 생선은 오른쪽에 놓는다.
육적(구운고기), 소적(두부 부친 것), 전(기름에 부친 것), 어적(생선구운것)을 놓는데 이때 생선의
머리는 오른쪽을 향하게 한다.
셋째 줄에는 고기탕과 생선탕, 두부탕 등 탕류를
올린다.
넷째 줄에는 ‘좌포우해’라고 해 왼쪽에 포, 오른쪽에
생선젓(젓갈류)을 놓는다.
다섯째 줄에는 ‘조율이시’ 또는 ‘조율시이’ 원칙에
따라왼쪽부터 대추 밤 등의 과일과 약과·강정 등을 진설한다.
그러나 우리의 제례문화는 ‘가가례(家家禮)’라는 말로 정의되듯이 각
집안이나 문중, 심지어는 같은 형제끼리도 음식을 놓는방법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형식과 음식 가짓수에 신경쓰기보다는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형편에 맞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우리나라 대표 명절인 설을 맞아 일반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명절차례와 제사의 상차림, 지방과 축문쓰는 법 등을 설명한 50여쪽 짜리 포켓북 형태의 ‘알기쉬운 명절차례와 제사’를 최근
발간했다.
이번설 차례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책의내용이 국립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www.nrich.go.kr)에 PDF파일형태로 등재돼 있다.
최영창기자 ycchoi@munhwa.com
출처-2006년 1월 27일(금) 오후 1:13 [문화일보]
'♡PINAYARN™♡ 【TODAY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DAY 스크랩】경부고속도로와 나란히…중부내륙선 있었네 (0) | 2006.01.27 |
---|---|
【TODAY 스크랩】세배할 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말하면 결례 (0) | 2006.01.27 |
【TODAY 스크랩】<새 5천원권 문의전화 폭주에 골머리> (0) | 2006.01.27 |
【TODAY 스크랩】’왕의 남자’ 명장면에 숨은 속뜻을 아시나요 (0) | 2006.01.27 |
【TODAY 스크랩】 이혼 충격! 패닉 김진표, 열애부터 결혼 그리고 파경까지 (0) | 2006.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