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강산 해금강 앞 바다 바위섬 사이를 고깃배들이 넘나듭니다. |
ⓒ2006 서종규 |
그랬지요. 고교시절 설악산 수학여행에서 중요한 탐방지가 고성에 있는 통일 전망대였지요. 군부대 안내원이 나와서 저 멀리 낙타봉이네, 구선봉이네, 그리고 그 아름답다던 해금강, 해금강이라고 하면 눈을 더 크게 뜨고 바라만 보았던 바다. 망원경으로 보아야 하는데, 단체로 온 학생들에겐 차지도 되지 않고. 그렇게 새겨진 기억 속의 바다가 해금강이었지요.
|
▲ 금강산 해금강에 바위가 만들어낸 절경 |
ⓒ2006 서종규 |
해와 달이 이 곳 바위 위에서 뜬다고 하여 일원관암, 병풍과 같이 생겼다고 하여 병풍바위, 신랑 신부가 마주 서서 전통결혼식을 올리는 모습과 같다하여 신랑신부바위, 돛대바위, 거북바위, 미륵바위 등 유람선에서 관광을 안내하는 안내원의 목소리가 귀에 들리는 것 같아요.
|
▲ 설명이 필요 없는 금강산 해금강 바닷가의 모습입니다. |
ⓒ2006 서종규 |
제주도 성산포에 있는 외돌개도 서귀포 해금강이라고 부른대요. 서귀포 칠십리 해안가를 둘러선 절벽기암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이 20m높이 의 기둥바위 외돌개, 약 150만년 전 화산이 폭발하여 용암이 섬의 모습을 바꿔놓을 때 생성되었다는 바위로 뒤에 보이는 범섬에 석양이 어릴 때의 경관은 더없이 장엄하다고 하죠.
백령도 두무진도 해금강으로 불러요. 두무진은 백령면 연화3리 해안지대인데, 신선대, 형제바위, 장군바위, 코끼리바위 등이 푸른 바닷물과 어울려 아름다운 비경을 이룬다지요. 장군들이 모여 회의하는 모습처럼 보인다고 해서 두문진이라고 했대요.
|
▲ 하얗게 눈이 쌓인 논과 멀리 금강산의 모습입니다. |
ⓒ2006 서종규 |
해금강 가는 길은 북한의 민가를 지나가게 되었어요. 더구나 해금강은 북측 민간인들도 들어 갈 수 없는 곳이랍니다. 왜냐하면 군사 통제지역이잖아요. 우리들도 고성 통일 전망대에서 볼 수 있는 곳이니 말이죠. 금강산에서 차로 이동할 때에는 꼭 북한 군인들이 길목에서 경비를 서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답니다.
|
▲ 내리 쬐는 햇살이 동해에 가득합니다. |
ⓒ2006 서종규 |
해금강 가는 길에서 본 민가의 모습도 반갑기 그지없었습니다. 학교도 보였고, 체신분소도 보였어요. 여러 채의 집들, 조그마한 웅덩이에서 미끄럼 타는 아이들, 자전거 타고 어디에 가는 사람들, 차가 가까이 다가가면 주민들이 뒤로 돌아 서서 차가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모습이 너무 아쉬웠어요.
|
▲ 해금강에 우뚝 솟은 향로봉입니다. |
ⓒ2006 서종규 |
한 걸음 두 걸음 세 걸음
걸음마다 넋을 읽고 바라보니
산은 푸르고 바위는 흰데
사이사이엔 꽃이 반겨 웃는구나.
만약 화공에게 저 경치를 본 떠
그림을 그려라 한다면
숲 속의 저 새소리와 바람소리는
어떻게 그린단 말인가?
|
▲ 해금강의 만물상이라고 합니다. |
ⓒ2006 서종규 |
“해금강 구역은 현 위치인 해만물상을 중심으로 동해안을 따라서 북으로는 총석정과 국도, 남으로는 입석과 영랑호, 송도, 현종암 등으로 이루어진 약 60km 구간을 통틀어서 일컫는다. 해금강 구역은 바다의 금강이란 뜻으로 예로부터 많은 시인, 화가, 선비들의 칭송을 받았으며, 전설 또한 숱하게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해금강 안내문 중에서>
|
▲ 해금강, 참 멋있죠? |
ⓒ2006 서종규 |
향로봉이 눈에 띄었습니다. 바닷가에 우뚝 솟은 봉우리, 역시 해금강이라는 말이 나올 만한 절경이었지요. 첩첩 쌓인 바위 봉우리에 해송들이 자라고 있었어요. 커다란 돌 위에 분재를 해 놓은 것 같은 모양이었어요. 구룡폭포 입구의 미인송과는 다른 바다 소나무의 멋이 색다른 느낌으로 다가왔어요.
군사 통제구역이라서 해만물상은 촬영이 금지된 구역이었어요. 그 옆에 군사 진지가 있어서 상당히 신경이 쓰이는 곳인가 봐요. 그래서 그 곳은 갈 수도 없었구요. 그래도 바위의 절경이 한 눈에 들어 왔어요. 바위가 아름다운 곳들을 해금강이라고 했던 남쪽 지역의 모습들이 떠올랐어요.
|
▲ 해금강에서 돌아서려니 발길이 차마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
ⓒ2006 서종규 |
동해바다는 모두 똑같았어요. 물론 바닷가도 똑같았구요. 조금만 걸어 내려가면 통일전망대에 도착하겠지요. 조그마한 바위섬 사이에 고깃배들이 한가로웠어요. 저 배를 타고 몇 번만 저으면 통일전망대 앞에도 갔다 올 수 있겠더라구요. 물고기들은 서로 넘나들겠지요. 갈매기들도 마찬가지고. 삼일포로 가야 된다고 안내원이 이끌 때까지 해금강에서 동해 바다만 바라보고 있었어요.
|
▲ 바위와 바다, 모두 한반도 동해에 있습니다. |
ⓒ2006 서종규 |
- ⓒ 2006 오마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처-[오마이뉴스 2006-02-06 10:14]
'♡피나얀™♡【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래블]‘그둘만의 핑크빛 세상’ 허니문은 어디로? (0) | 2006.02.07 |
---|---|
먹거리와 볼거리 풍성했던 빙어축제 (0) | 2006.02.07 |
[주말]'마음 허허로울 때' 나를 향해 떠나는 여행…장항선 (0) | 2006.02.05 |
석양을 입은 황궁은 양귀비보다 아름다워라 (0) | 2006.02.05 |
지중해 바라보며 에페소 맥주 한 잔 (0) | 2006.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