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초년생은 자신의 가치를 극대화해줄
전략적인 옷차림이 필요하다.
학생티를 벗고 상대방에게 신뢰감을 주는 모습으로 변신해야 하기 때문이다. 패션에 조금만 신경을 써도 자신의 이미지를 확 바꿀 수 있다. 감성시대엔 무엇보다 첫인상이 중요.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새내기들의 패션전략을 소개한다.
▲ 광택있는 검은색 소재로 세련된 수트 올 봄에는 빛의 방향에 따라 보일듯 말듯한 ‘스트라이프 수트’가 유행이다. 정장 구입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정장의 상의 재킷은 허리부분이 날씬하게 붙는 디자인 제품이 바람직하다.
세련되고 시크한 스타일을 표현한 ‘픽트라펠(Peaked Lapel)’ 수트도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다. 일명 ‘칼깃’으로 불리는 픽트라펠 수트는 하늘로 뻗은 라펠의 끝이 시선을 올려 주어 남성적인 강인함을 심어준다.
바지는 허리부분의 턱(주름)을 없앤 ‘노턱’이 몸매를 돋보이게 만든다. 주름이 없으면 아무래도 편안하지 않지만 업무를 볼 때 생기있고 긴장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장점이 있다.
바지통은 아래 바지단이 접힌 것보다는 일자라인으로 깔끔하게 처리된 것이 좋다. 처음 입는 정장이라면 오래 입을 생각은 하지말고 한 벌에 30만원 미만의 값싼 제품을 구입하되 차츰 직장 환경에 익숙해지면 개성에 따라 좋은 것을 갖춰 입도록 한다.
▲ 셔츠는 얼굴색 고려해 산뜻하고 밝은 색으로 남성들에게 V존은 시선을 사로잡는 가장 멋스러운 부분이다. 그만큼 셔츠와 타이를 잘 골라 입어야 전체 옷맵시를 살릴 수 있다.
검은색 계열 수트에 흰색이나 하늘색 셔츠가 신입사원다운 차림새다. 오렌지나 노란색 계열의 셔츠는 신선함으로 어필한다.
줄무늬 셔츠에 카라와 커프스가 흰색으로 배색되어 깔끔한 ‘클래릭 셔츠’는 흰색의 깔끔함과 몸판의 스트라이프 무늬 때문에 활동적이며 클래식한 느낌을 준다. 개성을 강조하려면 무늬가 있는 셔츠를 입어도 좋지만 너무 화려한 프린트의 실크 셔츠는 자제할 필요가 있다.
셔츠를 고를 때는 자신의 얼굴색에 맞는 색상을 선택해야 한다. 얼굴이 검은 편이라면 블루 컬러 계열의 셔츠를, 흰 편이라면 갈색, 회색 등의 셔츠를 입으면 강한 이미지를 준다.
넥타이는 화려한 무늬보다는 깔끔한 인상을 주는 줄무늬가 반복된 디자인을 추천한다. 분홍과 푸른색이 산뜻한 사선 줄무늬 타이, 또는 작은 점박이나 기하학적인 무늬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타이가 주목을 받고 있다.
▲ 여성은 전문성을 나타내는 옷차림 선택 여성복에서 어두운 색은 다소 침체된 느낌을 주므로 파스텔톤의 화사한 색깔의 정장을 고르는 것이 좋다. 봄의 느낌을 주는 파스텔톤의 바지 정장에 트렌치코트는 감각있는 연출. 여기에 스카프를 잘 골라서 매면 세련미를 업그레이드시킨다.
또 아래 위 한 벌의 정장 수트가 딱딱하게 느껴지면 세미 정장풍으로 꾸민다. 니트+카디건의 앙상블 스타일은 실내에서 편안하면서도 여성스러움을 부각시킬 수 있는 아이템이다.
이와 함께 여성미를 강조하고 싶다면 샤넬풍의 트위드 재킷 하나만 갖춰도 색다른 변신이 가능하다. 검은색이나 회색 계통은 세련된 느낌을, 옅은 파스텔톤은 차분한 이미지를 준다.
안에 입는 셔츠나 블라우스는 색이 강한 줄무늬나 꽃무늬로 발랄한 느낌을 강조하거나 요즘 유행하는 레이스와 러플블라우스로 여성미를 살리도록 한다.
요즘은 아래 위 한 벌 개념의 수트 스타일은 아무래도 개성이 없어 보인다. 자유 복장이 허용하는 직장이라면 옷차림에 개성을 더 살려보자.
하지만 너무 값비싼 옷이나 장신구, 유행에 과민한 복장 등은 출근복 차림으로 적절하지 않다. 또 카고팬츠, 7부바지나 반바지, 쫄바지, 너무 짧은 미니스커트, 후드티, 큰 프린트가 된 면티셔츠 등도 자유 복장치고는 너무 튀므로 피해야 한다.
학생티를 벗고 상대방에게 신뢰감을 주는 모습으로 변신해야 하기 때문이다. 패션에 조금만 신경을 써도 자신의 이미지를 확 바꿀 수 있다. 감성시대엔 무엇보다 첫인상이 중요.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새내기들의 패션전략을 소개한다.
▲ 광택있는 검은색 소재로 세련된 수트 올 봄에는 빛의 방향에 따라 보일듯 말듯한 ‘스트라이프 수트’가 유행이다. 정장 구입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정장의 상의 재킷은 허리부분이 날씬하게 붙는 디자인 제품이 바람직하다.
세련되고 시크한 스타일을 표현한 ‘픽트라펠(Peaked Lapel)’ 수트도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다. 일명 ‘칼깃’으로 불리는 픽트라펠 수트는 하늘로 뻗은 라펠의 끝이 시선을 올려 주어 남성적인 강인함을 심어준다.
바지는 허리부분의 턱(주름)을 없앤 ‘노턱’이 몸매를 돋보이게 만든다. 주름이 없으면 아무래도 편안하지 않지만 업무를 볼 때 생기있고 긴장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장점이 있다.
바지통은 아래 바지단이 접힌 것보다는 일자라인으로 깔끔하게 처리된 것이 좋다. 처음 입는 정장이라면 오래 입을 생각은 하지말고 한 벌에 30만원 미만의 값싼 제품을 구입하되 차츰 직장 환경에 익숙해지면 개성에 따라 좋은 것을 갖춰 입도록 한다.
▲ 셔츠는 얼굴색 고려해 산뜻하고 밝은 색으로 남성들에게 V존은 시선을 사로잡는 가장 멋스러운 부분이다. 그만큼 셔츠와 타이를 잘 골라 입어야 전체 옷맵시를 살릴 수 있다.
검은색 계열 수트에 흰색이나 하늘색 셔츠가 신입사원다운 차림새다. 오렌지나 노란색 계열의 셔츠는 신선함으로 어필한다.
줄무늬 셔츠에 카라와 커프스가 흰색으로 배색되어 깔끔한 ‘클래릭 셔츠’는 흰색의 깔끔함과 몸판의 스트라이프 무늬 때문에 활동적이며 클래식한 느낌을 준다. 개성을 강조하려면 무늬가 있는 셔츠를 입어도 좋지만 너무 화려한 프린트의 실크 셔츠는 자제할 필요가 있다.
셔츠를 고를 때는 자신의 얼굴색에 맞는 색상을 선택해야 한다. 얼굴이 검은 편이라면 블루 컬러 계열의 셔츠를, 흰 편이라면 갈색, 회색 등의 셔츠를 입으면 강한 이미지를 준다.
넥타이는 화려한 무늬보다는 깔끔한 인상을 주는 줄무늬가 반복된 디자인을 추천한다. 분홍과 푸른색이 산뜻한 사선 줄무늬 타이, 또는 작은 점박이나 기하학적인 무늬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타이가 주목을 받고 있다.
▲ 여성은 전문성을 나타내는 옷차림 선택 여성복에서 어두운 색은 다소 침체된 느낌을 주므로 파스텔톤의 화사한 색깔의 정장을 고르는 것이 좋다. 봄의 느낌을 주는 파스텔톤의 바지 정장에 트렌치코트는 감각있는 연출. 여기에 스카프를 잘 골라서 매면 세련미를 업그레이드시킨다.
또 아래 위 한 벌의 정장 수트가 딱딱하게 느껴지면 세미 정장풍으로 꾸민다. 니트+카디건의 앙상블 스타일은 실내에서 편안하면서도 여성스러움을 부각시킬 수 있는 아이템이다.
이와 함께 여성미를 강조하고 싶다면 샤넬풍의 트위드 재킷 하나만 갖춰도 색다른 변신이 가능하다. 검은색이나 회색 계통은 세련된 느낌을, 옅은 파스텔톤은 차분한 이미지를 준다.
안에 입는 셔츠나 블라우스는 색이 강한 줄무늬나 꽃무늬로 발랄한 느낌을 강조하거나 요즘 유행하는 레이스와 러플블라우스로 여성미를 살리도록 한다.
요즘은 아래 위 한 벌 개념의 수트 스타일은 아무래도 개성이 없어 보인다. 자유 복장이 허용하는 직장이라면 옷차림에 개성을 더 살려보자.
하지만 너무 값비싼 옷이나 장신구, 유행에 과민한 복장 등은 출근복 차림으로 적절하지 않다. 또 카고팬츠, 7부바지나 반바지, 쫄바지, 너무 짧은 미니스커트, 후드티, 큰 프린트가 된 면티셔츠 등도 자유 복장치고는 너무 튀므로 피해야 한다.
패션전문 기자 suzanpark@dreamwiz.com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한국아이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출처-2006년 2월 25일(토) 9:33 [스포츠한국]
'♡피나얀™♡【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츄리닝’ 없어 못 판다…월드컵 앞두고 국가별 유니폼 본딴 옷 불티 (0) | 2006.02.28 |
---|---|
''Print'' 옷이 예술을 입었다 (0) | 2006.02.25 |
[마켓&트렌드] '반짝반짝' 글리터링 룩 (0) | 2006.02.24 |
[스타일]미리 살펴본 올해 봄/여름 트렌드 (0) | 2006.02.23 |
요즘 멋내기 좋은 아이템, 똑똑한 In & Out 코디법 (0) | 2006.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