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들이 잘 못자면 키가 안 클까 걱정하는 이들이 많지만 더
큰 문제는 산만함과 비만이라고 전문의들은 지적한다.
성장과 발육에 장애를 겪는다는 통념은 “성장호르몬은 잠을 잘 때 분비된다”는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알려진 것과 달리 잠을 언제 얼마나 자느냐가 성장에 직결된다는 의학적 증거는 없다.
세브란스병원 소아과
김덕희 교수는 “성장 치료가 필요한 아이들 중 수면 문제가 원인인 경우는 거의 볼 수 없다”며 “성장호르몬은 잠이 든 후 1시간 뒤부터 분비되기
때문에 그 이상 오래 자기만 한다면 언제든 충분히 분비될 수 있다”고 말한다.
오히려 늦게 자는 아이들에게는 산만함이 큰
고민거리다. 가톨릭대 의대 성빈센트병원 홍승철 교수는 “만성적으로 잠이 모자라면 주의력과 판단력이 떨어지고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려지며, 특히
깊은 수면이 부족할 경우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홍 교수는 “아이들의 수면 시간을 35분 늘렸을 때 기억력과
학업 수행 능력이 향상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고 말했다. 미국 브라운대 의대 팰론 박사팀이 초등학교 1~2학년생에게 수면 시간을
1시간~1시간30분 정도 줄여 8시간 이하로 재우자 기억력, 학습 능력, 주의집중도가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적도 있다.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는 수면과 서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 교수는 “만성적인 수면 부족은 주의력, 인내력, 학업 수행 능력을 떨어뜨리며, ADHD 어린이의 경우 불면증이 종종 관찰되는
등 수면과 ADHD는 상당한 연관 관계가 있다는 게 학계의 대체적인 의견”이라고 말했다. “유난한 아이라서 잠을 안 잔다”고만 여길 것이 아니라
“잠을 제대로 못 자서 산만하다”고 의심해야 하는 상황이다.
늦은 취침은 비만과도 관련이 있다. 김덕희 교수는 “늦게 자는
아이들은 대부분 TV나 컴퓨터를 하면서 단 군것질을 하는 경우가 많고 단 음식은 비만을 유발하고 성장호르몬 분비를 저해해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비만은 그 자체로 성장호르몬 분비를 감소시키며, 코골이가 흔해 수면 장애가 생기기도 한다. 잘 못자는 것과 비만이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뜻이다.
전문의들은 아이가 유난히 산만하거나, 주의력이 떨어져 다친 적이 있거나, 코골이, 이갈이, 몽유병 등이
보일 경우 수면 전문의를 찾아 검사를 받아보라고 권하고 있다.
김희원 기자 hee@hk.co.kr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아이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출처-[한국일보 2006-03-21 19:36]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
'♡피나얀™♡【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임여성 동호회를 아시나요 (0) | 2006.03.22 |
---|---|
밤 되면 조명 낮추고 TV꺼라" (0) | 2006.03.22 |
[자녀들과의 올바른 대화법] 명령·훈계는 좌절감 줘 상대방 존중이 우선 (0) | 2006.03.22 |
“좋은 아빠 되려면 좋은 남편부터 돼야” (0) | 2006.03.20 |
[우리아이어떡해요!] 코쿤 키드 (0) | 2006.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