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은행 기준 2004년 1인당 GNI 2만530달러..세계 46위
구매력을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이 2004년 현재 2만달러를 넘어섰다. 세계은행(Word Bank) 집계 기준으로 우리나라 국민소득이 2만달러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3월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집계로도 구매력 기준 1인당 GNI에서 사상 첫 2만달러대를 기록한 바 있다. OECD 기준 1인당 GNI는 2만935달러였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세계개발지수 2006으로 본 세계속의 한국경제`에 따르면 각국의 물가 수준을 감안한 PPP(Purchasing Power Parities)환율을 적용했을 때, 지난 2004년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GNI)은 2만530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인 2003년 1만8000달러에 비해 2000달러 가량 증가한 것이다.
PPP환율은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각국 화폐가 어느 정도의 구매력을 가지고 있는지 평가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각국 화폐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낸다. PPP환율로 산출한 우리나라 1인당 GNI는 조사대상국 208개국 중 46위 수준이었다.
PPP환율로 산출했을 때 세계에서 가장 큰 1인당 국민소득을 보인 나라는 룩셈부르크로, 이 나라의 1인당 GNI는 6만1610달러에 달했다. PPP환율을 적용한 미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3만9820달러(세계 3위)였다. 일본은 2억9810달러로 18위를 차지했다.
최근 3년간 가중평균 환율을 적용한 우리나라의 명목 1인당 GNI는 1만4000달러로 208개국 중 50위였다. 이는 홍콩(2만6660달러)나 싱가포르(2만4760달러) 등 아시아 이웃나라와 비교하면 1만달러 이상 적은 수준이다.
또 2004년 현재 우리나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6797억달러로 186개국중 11위를 차지했다. GDP를 기준으로 한 경제규모 1위는 미국으로, 미국의 GDP는 11조7118억달러에 달했다. 2위 일본은 4조6228억달러, 3위 독일은 2조7406억달러였다. 중국은 6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GDP 규모를 100으로 볼 때 미국은 1723으로 무려 17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일본 680, 중국 284, 아세안 115, EU 1884 등이었다. 미국은 GDP 기준으로 일본보다 2.5배 큰 경제규모를 자랑했고, 일본은 중국보다 2.4배 큰 경제규모를 보였다.
한편 우리나라의 명목 GNI는 6731억달러로 208개국중 12위였다.
<저작권자ⓒ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한나 (ray@edaily.co.kr)
출처-[이데일리 2006-05-15 12:00]1300원과 920원 ...
1$ 당 환율입니다.. 대략 숫자만 보면 별거 아닌거 같은데 계산해 보면 29% 떨어진거죠.. 1인당 국민소득 1만 5천불 이 최종액 대비 증가율로 계산하면 2만불 되는거. 25%만 환율 떨어져도 그냥 2만불 됩니다..
1996년에 2만불이었다가.. 2006년에 2만불이 됐다면.. 그동안 국민소득 제자리 걸음 한겁니다..
계산기 두들겨보면.. 압니다..
웃기는 통계 숫잡니다..
문제는 유가상승, 물가상승을 계산하면 10년간 국민소득은 줄어든겁니다..
2만불이 다 같은 2만불이 아닙니다..
환율 1100원에서 920원되면 16% 떨어지는건데.. 국민소득.. 장난하는거 일도 아니죠..
국민소득은 제자리에서 실질소득은 줄어들고.. 환율만 변한거죠.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휘발유값 리터당 700원 할때하고 리터당 1600원 할때 환율 감안해서 국민소득이 변동한게 없다면. 국민들은 엄청나게 가난해진겁니다..
만약 환율이 달러당 5백원대로 떨어지면.. 1인당 국민소득 4만불 됩니다. 그냥 아무것도 변한거 없이.. 국민소득은 4만불인데.. 실제소득이 일본보다 높아진걸까요? .. 그렇게 생각하면 됩니다.
담뱃값 두배 오르고.. 전철값 두배오르고.. 휘발유값도 두배로 오르고..
국민소득이 실제로 제자리라면.. 국민소득은 반으로 준겁니다...
실업률통계도 마찬가집니다.. 비정규직이나 한시적 근로자.. 대학생.. 군인을 취업자로 계산하거나 하면 실업률 엄청나게 줄어들죠..
아마 한국의 실제 실업률은 10%이상입니다..
실제 실업률 10%대면 폭동 안일어나는게 이상한겁니다.. 국민소득은 반으로 줄고..
wizmail님
|
|
PPP환율로 계산한 PPP GDP는 각국의 물가수준을 비교해서 실제 구매력을 계산한 환율입니다. 일본과 같이 다른 나라보다 물가가 높은 나라는 실제 교환 환율로 계산된 달러화 표시 명목GDP보다 낮게 나오고 중국과 같이 물가가 싼나라는 PPP GDP가 실제 교환 환율로 계산된 달러화 표시 명목GDP보다 높게 나옵니다. 한국의 물가를 감안한 PPP환율기준으로 2만불이 넘는다는 건.. 14000달러의 1인당 GDP로 20000달러 어치를 구매할수 있다는 말입니다. 즉, PPP는 물가와 관련이 있지.. 직접적인 교환환율과는 별 관련이 없습니다.. | |
a01230123님
|
|
너무 부정적이시군요. 소득은 분명 증가했습니다. 님께서 말한 1996년 우리나라 소득은 1만2천불이었습니다. 증가한것은 증가한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실업율은 3%대로 상당히 낮은 편입니다. 다만 청년실업율이 높을 뿐이지요. 친노는 아니지만 사실은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 |
caffelatte83님
|
|
좀..제대로 알길...ppp는 환률에 의한 영향이 별로 없습니다. 그리고 님께서 말씀 하신 부분은 다른 나라와의 소득 격차를 따져 보면 되겠지요..다른 나라들의 소득이 오르지 않았는대도 한국의 소득이 올랐다면 직관적으로 한국의 소득이 올랐다고 볼 수 있는것 아닙니까...그리고 환률 상승으로 인한 국민 소득 증가는 어느정도 그 국가의 펀더 맨털을 반영 한 것이라고 해석 할 수도 있습니다. 너무 부정적으로만 보지 마시길.. |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
'♡PINAYARN™♡ 【TODAY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DAY 스크랩】"샐러리맨 소득공제, 이런 것도 있었네" (0) | 2006.05.15 |
---|---|
【TODAY 스크랩】죽어서도 제자 사랑“사랑하는 제자들아 천국에서 지켜볼 (0) | 2006.05.15 |
【TODAY 스크랩】캠퍼스의 외계인 복학생, 그들의 특징과 몇가지 오해 (0) | 2006.05.15 |
【TODAY 스크랩】 전지현-윤은혜-한효주, '섹시 발랄 청순, 내가 퀸!' (0) | 2006.05.14 |
【TODAY 스크랩】 환율 또 빠져?… ‘換테크 대박’ 노려볼까 (0) | 2006.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