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나얀™♡【건강】

골초에 술고래인 당신… 구강암 검사 받아보시죠

피나얀 2006. 5. 16. 18:21

 

(흡연이 부르는 구강암 증상과 예방법::)

 

구강암은 구강(입속)내 모든 조직에서 생긴 악성 종양을 총칭한 다. 한국인의 전체암 중 3~5%를 차지하는 비교적 드문 암이지만 치료시기가 늦으면 사망률이 높아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구강암도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조기치료와 예방이 가장 중요하 다. 평소 치과진료를 정기적으로 받고, 스스로 관심을 갖고 구강 내 의심스러운 혹이나 상처들을 그냥 지나치지 말고 관찰하는 습 관을 기른다면 구강암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대한치과의사협 회의 조언이다.

 

◆구강암이란 = 구강암은 혀, 잇몸, 점막, 입천장, 구강바닥, 목 등 구강내 어느 부위에나 발생한다. 입안이 헐거나 붓고 딱딱해 지거나 아픈 증상을 보인다. 증상에 따라 돌출성(종괴 형성), 내 장성(궤양 형성), 백반성, 홍반성으로 구분한다.

 

돌출성은 단단 한 종괴가 형성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불규칙적이거나 수지상 의 표면을 가지면서 다양한 색을 띠며 표면에 궤양이 동반되며 촉 진시 단단한 느낌이 든다.

 

내장성은 불규칙적인 모양으로 병소가 패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궤양이 있으며 주변이 정상 점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입안 색깔이 백색으로 변하는 백반성과 붉은 색으로 변하는 홍반 성의 경우 암 초기로 볼 수 있다.

 

구강암은 40대 이상의 연령에 서 많이 발생하며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흡 연량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흡연이 최대 원인 = 현재 흡연은 입술과 입안, 혀, 잇몸, 성대 주변의 모든 구강암을 유발하는 주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 강암은 다른 암에 비해 악성도가 높아 사망률이 높고 남성에서 구강암의 92%, 여성에서 61%가 흡연과 직접 관계가 있다.

 

비흡연 자에 비해 흡연자들은 구강암이 최대 15배 많이 발생한다. 흡연 과 음주를 동시에 하는 경우 구강암 발생은 38배로 높아진다는 조 사결과도 있다.

 

어떤 요소가 구강암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연 구에서 담배와 술이 모든 구강암의 75%를 일으켜 이 질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암의 원인으로 흡연, 음주이외에도 햇빛 노출(입술의 경우), 전반적인 영양 부족, 바 이러스 및 곰팡이 감염, 만성적 자극 등이 있다.

 

◆수술치료가 확실 = 구강암의 치료는 수술적 절제 및 재건술, 방사선치료, 항암제 투여 및 이러한 치료 중 둘 또는 셋을 함께 하는 병합 치료를 시행한다.

 

수술은 구강암 치료의 가장 기본적 이고 확실한 방법이다. 수술은 종양 조직의 절제와 이로 인해 생 긴 결함을 재건하는 것으로 나눠진다.

 

근래에는 턱뼈를 포함한 구강조직의 절제 후 재건술이 발달되어 조기에 기능을 회복시키고 외모도 비교적 자연스럽게 회복해 줄 수 있다.

 

구강암은 위를 덮고 있는 점막 조직이 얇기 때문에 암 조직이 밑의 턱뼈로 쉽게 침투하게 된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나 항암제만으로는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구강암은 외과적 절제가 가장 추천된다.

 

복합 방식 치료는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항암 화학 요법과 함께 병행하는 치료 방법이고 보조적 화학요법은 수술이나 방사선 치 료 후 남아 있을지 모르는 암세포를 모두 없애기 위해 항암제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자가검사로 예방 = 구강암은 초기에 발견하지 못한다면 5년 생 존율이 50%이하이고 생존한다 하더라도 수술로 인한 안면부의 손 상이 커서 사회생활의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구강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흡연을 하지 않고 구강위생을 청결히 해야 한다. 또한 암예방에 도움이 되는 야채, 과일, 비타민 A,C,E 등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구강암도 하루아침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흡연에 장기간 노출되 어 세포가 유전적 손상이 수년 혹은 수십년간 축적되어 일어나는 현상인 만큼 가장 중요한 것은 청소년 시기부터 금연하여야만 암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강악안면학회측은 정기적인 검진과 함께 한달에 한번정도 구강 암에 대한 자가검사를 시행하기를 권한다.

 

자가검사시 눈여겨볼 부분은 구강내 붉은 얼룩이나 흰 얼룩이 있거나 잘 낳지 않는 상 처나 쉽게 피가 나는 부분 조직이 증식되거나 혹이 보이는 경우 만성적으로 목이 따끔거리거나 쉬는 경우 씹거나 삼키기가 힘든 경우 등이다.

 

구강검사를 완전히 하기 위해서는 밝은 조명아래 거울을 사용해 서 해야한다. 먼저 입술안쪽과 잇몸 앞쪽을 보시고 질감을 느낀 다.

 

고개를 뒤로 젖힌 후 입천장을 만져 보는 순서로 한다. 이때 의치(틀니)를 제거하고 해야 한다. 암병소가 생긴 경우 제거술 과 함께 지속적인 관찰을 한다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움말=대한치과의사협회·대한구강악안면학회 이진우기자 jwlee@munhwa.com

출처-[문화일보 2006-05-16 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