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오마이뉴스 2006-09-01 10:42]
|
▲ 북항 모습 |
ⓒ2006 최성민 |
전남 목포 북항과 그 건너편 압해도 사이의 바다 물목에서 사시사철 벌어지는 일이다. 이제 9월로 접어들면서 날씨가 선선해지면 운저리(망둥이의 일종) 낚시꾼들이 북항 방파제에 늘어설 참이니 살아움직이는 풍경이 하나 더 늘 것이다. 그래서 북항의 북적대는 모습을 두고 이런 말이 나올 법 하다.
"일상이 무료하면 북항에 가보라. 무력감에 빠지걸랑 북항에 가보라. 삶에 자신이 없거나 무엇을 할지 잡히는 게 없는 사람은 목포 북항으로 가라."
그 곳에서 배와 사람들의 활력넘치는 모습과 항구 주변을 가득 매우고 있는 뻘낙지 횟집들과 좌판대 아주머니들의 외침에서 최소한 벌떡 일어서고자 하는 활력을 충전 받게 될 것이다.
온갖 해산물이 모여드는 서해안고속도로의 종착지
|
▲ 북항으로 치닫는 배들. |
ⓒ2006 최성민 |
뒷개라는 것은 '뒤쪽에 있는 갯가'라는 뜻이고, '뻘선창'이란 간혹 물때가 잘 맞지 않아 썰물 때 여객선이 들어오면 물이 빠져 드러난 갯벌 끝 징검다리가 놓인 임시 선창에 배를 댔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면 섬사람들은 달걀 꾸러미나 돈부(콩의 일종) 자루 등 양손에 무거운 짐을 들고 투덜대면서 뻘 등을 걸어 나와야 했다.
|
▲ 유달산을 배경으로 한 북항에서 압해도로 도선이 향하고 있다. |
ⓒ2006 최성민 |
|
▲ 압해도 부두. |
ⓒ2006 최성민 |
즉, 섬 세상인 신안군 일대의 섬들로 이어지는 징검다리 구실을 하는 섬인 압해도가 바로 북항 코 앞에 있고(북항에서 도선으로 10분 거리), 따라서 압해도를 비롯한 갯벌넓은 신안 섬들에서 나는 맛있는 생선·조개·해조류가 북항으로 모여들었다.
뻘낙지, 민어, 농어, 전어, 홍어, 꼬막... 맛있다!
|
▲ 압해도 소금. |
ⓒ2006 최성민 |
|
▲ 압해도에서 북항으로 향하는 배. |
ⓒ2006 최성민 |
압해도는 섬 둘레가 넓고 두텁고 기름진 개펄로 덮여있다. 이 때문에 뻘에서 사는 갯지렁이나 작은 게 종류 또는 감태같은 해초를 즐겨먹는 농어·감성돔·운저리 같은 고기들이 들끓는다.
웬만한 초보자도 미끼를 잘 갖춘 낚시를 던지면 발품벌이는 할 수 있을 정도로 낚시질이 잘 된다. 압해도에서는 또 질좋은 천일염도 난다. 압해도는 신안군의 많은 섬들에서 나는 거의 모든 해산물이 생산되기에 신안군 섬의 대표격이자 종합판이라고 할 만하다.
|
▲ 차를 가득 실은 압해도 도선. |
ⓒ2006 최성민 |
낙지에는 뻘낙지와 '바위낙지'가 있다. 순 진회색 뻘색깔인 뻘낙지는 불그스레한 색깔의 바위에 붙어사는 바위낙지와 색깔에서 구별된다. 몰론 맛도 천지차이이다. 뻘낙지는 부드럽고 쫄깃쫄깃하고 달고 구수한 맛이 진한데 비해 바위낙지는 노린내가 약간 나면서 질기고 감칠 맛이 떨어진다. 여기에 요즘엔 중국산까지 판치니 다른 곳에선 낙지 하나 맘놓고 먹을 상황이 아니다.
세발낙지, 둘둘 감아먹지 마세요
|
▲ 뻘낙지 |
ⓒ2006 최성민 |
세발낙지라고 하는 것은 한자로 '세(細)'자를 써서 '발(다리)이 가는'낙지를 일컫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그 낙지를 직접 잡는 압해도 일대 신안의 섬사람들은 일찍이 이를 '새(鳥)발낙지'라고 불렀다. 새발처럼 발이 가는 낙지라는 뜻이었다.
정말 세발낙지라는 종류가 있는지, 사람마다 모습이 다르듯 어쩌다 생김새가 약간 다른 것들이 나타나는 건지 생물학적으로 확인해볼 일이다.
| |
▲ 뻘낙지 | |
ⓒ2006 최성민 |
그런데 이런 식으로 낙지를 먹는 데는 문제가 없지 않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낙지 머리로 알고 있는 것은 사실은 모든 내장이 들어있는 낙지의 배에 해당하는 것인데, 여기엔 따내서 버려야 할 창자 등 기생충이 들어있을 수 있는 내장도 들어있다.
그런 낙지를, 살아서 꿈틀대는 젓가락에 둘둘 말아서 한 입에 씹어 먹는 것은 모양도 좋지 않고 생물인 낙지에 대한 예의에도 벗어나고 위생상 위험하기도 하다.
그런데 지금 압해도와 목포 '뻘선창'을 있는 다리가 놓이고 있어 압해도와 북항 사이의 이런 활력은 어떻게 변할지 궁금증과 걱정이 앞선다.
덧붙이는 글
기자소개 : 최성민 기자는 <오마이뉴스> 편집위원입니다. KBS 기자, 한겨레신문
여론매체부장 및 논설위원을 지냈습니다. 저서로는 <그곳에 가면 살맛이 난다> <섬, 내가 섬이 되는 섬> <차 만드는
사람들> 등이 있습니다.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
'♡피나얀™♡【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소리축제 16일 개막, 소리가 익는 ‘전주의 9월’ (0) | 2006.09.03 |
---|---|
프라하는 더 행복해졌을까? (0) | 2006.09.01 |
붉게 물든 한강물에 '황홀'... 강 건너 관악산이 내 품에 (0) | 2006.09.01 |
불국사의 달밤 등 밝혀 탑돌이…‘달빛신라 역사기행’ (0) | 2006.09.01 |
발길마다 유적…도시 전체가 세계문화유산 (0) | 2006.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