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헤럴드 생생뉴스 2006-12-11 09:17]
복권, 카지노, 주식, 땅투기, 포커, 고스톱….
사회가 힘들고 각박해져서일까. 올 한 해를 되돌아보면 전국이 ‘도박광풍’에 휩싸여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분당 서울대병원의 자체 조사에 따르면 올해 최고의 키워드로 ‘부동산값 급등’과 사행성 게임 ‘바다이야기’가 꼽혔다. 전국이 한탕주의와 도박중독증으로 몸살을 앓았다는 방증이다. 인터넷 온라인 도박도 위험수위를 넘어 청소년 가입이 급증 추세다.
연령과 세대를 불문하고 도박은 어느새 한국 사회 깊숙이 파고들고 있는 것이다.
▶도박중독은 병이다=
세계 각국의 도박중독자는 평균 1~2%다. 그러나 우리나라 도박중독자는 성인 인구의 9.3%, 약 300만명이나 된다. 매년 온라인 도박사이트에 새로 가입하는 청소년도 수만명에 이른다. 한 마디로 사람이 도박을 하는 것이 아니라 도박이 사람을 끌어모으는 형국이다. 그 폐해는 상상 이상이다.
지난해 강원랜드에서는 도박으로 돈을 잃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이 17명이나 나왔다. 또 경찰청 조사에 따르면 최근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바다이야기’ 파문으로 20여명 이상이 자살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대부분의 도박중독자는 자신을 환자라고 보지 않는다. 단지 습관일 뿐이고 ‘재미삼아’ 손을 댔을 뿐이다. 그러나 전문의들은 도박중독증이 습관이 아닌 질병이라고 진단한다.
충동조절장애의 일종으로 도파민 등 뇌속의 신경전달물질이 불균형을 이룬 경우와 탐닉적 혹은 현실도피적 성격의 소유자가 도박중독에 빠지기 쉽다는 설명이다.
▶합병증이 더 무섭다=
KRA(한국마사회)에서 운영하는 도박중독치료센터 유캔센터의 이홍표 박사(심리학)는 “도박중독증이 심해지면 대부분 우울증과 알코올중독을 동반한다”고 말했다. 도박에 빠지면 대부분 빚을 많이 지게 돼 인간관계가 단절되는 경우가 많다.
이 지경에까지 이르면 외로움을 못 이겨 술에 빠지거나 우울증세를 겪는다. 이 경우는 병원 치료를 받는 게 원칙이다. 이뿐 아니라 개인파산, 이혼과 가정파탄 등 도박중독증 때문에 치르는 사회적 비용도 엄청나다.
▶상담센터를 먼저 찾아라=
도박중독증 환자는 정신병원을 찾는 것에 대해 심한 거부감을 나타낸다. 본인이 병에 걸린 것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 그래서 도박중독증은 주변 사람들이 먼저 안다. 거짓말이 늘고, 돈을 떼먹는 일이 많아진다. 이 경우 지역 내 가까운 상담센터를 먼저 찾도록 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 무료로 도박중독에 대한 상담치료와 인지행동치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KRA는 서울 용산, 경기 분당과 과천, 부산(2곳), 제주 등 총 6곳의 유캔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강원랜드는 서울 역삼동 스타타워에 한국도박중독예방치유센터를 설치했다. 당사자가 도박중독증 여부를 확인하고 싶다면 각 상담센터 홈페이지의 설문조사를 통해 간단히 점검해볼 수도 있다. 한편 도박중독의 경우 집단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의견도 있다.
강북삼성병원 ‘도박중독클리닉’(www.dobakclinic.com)에서는 주 1회씩 8주간 집단치료를 실시하고 있다. 또 전국 47개가 운영되고 있는 ‘단도박모임’(www.dandobak.co.kr)도 치료에 큰 도움이 된다. (02)521-2141
◇도방중독 여부 자가진단법
1. 원래 의도했던 것보다 더 많이 습관성 도박을 하게 되었다.
2. 도박에 빠져 사람들에게 비난받거나 평판이 나빠진 적이 있다.
3. 자신이 도박을 하는 방식 때문에 죄책감을 느낀 적이 있다.
4. 도박을 끊고 싶지만 끊지 못할 것 같다고 느낀 적이 있다.
5. 가족, 친구 등에게 도박과 연관된 물건을 숨긴 적이 있다.
6. 돈을 관리하는 방식 때문에 좋아하는 사람들과 다툰 적이 있다.
7. 돈 문제로 다툰 원인이 주로 습관성 도박에 있다.
8. 습관성 도박 때문에 돈을 빌리고 갚지 못한 적이 있다.
9. 도박으로 인해 직장에서 일할 시간을 빼앗기거나 흥미를 잃었다.
10. 도박 빚을 갚거나 구하기 위해 집안 물건, 부동산 등을 판 적이 있다.
(위 항목 중 2~4개면 습관성 도박, 5개 이상은 도박중독에 해당)
|
![](http://www.xn--910bm01bhpl.com/gnu/pinayarn/pinayarn-pinayarn.jpg)
'♡피나얀™♡【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통은 국민질환? (0) | 2006.12.12 |
---|---|
캐러멜 색소의 속임수 (0) | 2006.12.12 |
주말 오후 3시엔 참으세요… 스키-스노보드 부상 대처법 (0) | 2006.12.11 |
입안건조 불쾌한 입냄새 코로 호흡…물 자주 마셔야 (0) | 2006.12.09 |
인삼, 피곤하다고 무조건 먹으면 '독' (0) | 200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