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나얀™♡【건강】

우울증 어떻게 치료하나

피나얀 2006. 11. 25. 21:38

 

출처-[문화일보 2006-11-25 13:08]



(::의사상담·약물 병행 일찍 찾을수록 효과::)

 

삶에 대해 점점 의욕과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슬픔과 절망에서 헤어나지 못하게 된다면 우울증을 의심해야 한다. 우울증을 계속 방치할 경우 사회생활을 원만히 할 수 없게 되며 대인관계에서 도 여러 가지 심각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삶에 대한 극 단적인 허무함과 절망감을 느끼기 때문에 극한 상황에서는 자살 을 시도할 수 도 있다.

 

우울증은 단순히 우울한 감정이 아니라 치료해야 할 질환이다.

 

홍진표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만사가 귀찮고, 의욕이 없 는 증상이 동반되면서 일하기도 힘들고, 사람 만나기도 힘들고, 만사가 비관적으로 생각되는 우울증은 환자 스스로는 탈출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질병”이라고 말했다.

 

특히 중한 우울증을 의지력만으로 극복하려는 것은 매우 무모한 행위라는 것이 전문의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유범희 서울삼성병원 정신과 교수는 “중한 우울증을 약이 아닌 의지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생각은 고혈압이나 당뇨병을 약을 복용하지 않고 의지력으로 고치려는 것과 마찬가지로 무모한 생 각”이라고 지적했다.

 

◆무기력 절망감 느껴 =

 

우울증의 발병에는 유전적, 신체적, 심 리적,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기분을 조절하는 대 뇌 속의 신경전달물질(노어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등)이 적절한 기능을 못하게 되면서 우울증으로 나타난다고 본다.

 

가까운 친지 가 죽거나 재산을 탕진한 경우, 실직을 했거나 고부간의 갈등 등 으로 인한 강한 스트레스가 우울증을 촉발할 수 있다. 의존적이고 열등감이 심한 성격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우울증은 평소 활달하고 명랑한 사람에게 찾아올 수 있고, 별 이유없이 발생할 수도 있다.

 

우울증에 걸리면 절망감, 외로움, 무가치감, 걱정, 죄책감을 드 러내며 흔히 슬픔을 심하게 느끼게 된다. 자신이 무능력하고 열 등하며 언제나 적절하게 행동하지 못한다고 생각해 일이 잘못되 거나 실패할 경우 이를 모두 자기 책임으로 돌리고 죄책감에 사 로잡히기 쉽다.

 

우울증에는 거의 신체적인 증상이 동반된다. 잠 이 ?읒?않고, 잠이 들더라도 자주 깬다거나, 식욕이 떨어지고, 성욕 이 저하되고, 기운이 없고 쉽게 피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조기치료 중요 =

 

우울증은 조기에 발견해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치료효과도 좋다. 치료법은 우울증의 원인,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서 달라질 수 있다. 우울증은 기분을 조절하는 뇌의 특정 부위에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상태를 교정하기 위한 약물치료를 필요 로 한다. 대인관계 치료 등 정신치료도 병행한다.

 

윤세창 서울삼성병원 정신과 교수는 “항우울제들은 약물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고 습관성이나 중독성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복 용할 수 있다”며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주치의의 지시가 있을 때까지 꾸준히 복용해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상생활에서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예방하려면 말 없이 참지 않아야 한다. 말 없이 속에 감정을 쌓아두기만 하면 우울 증에 빠질 위험이 높다. 지나친 스트레스를 줄여야 한다.

 

규칙적 인 생활과 활동을 하고 균형 잡힌 식습관을 갖고 운동을 계속한 다면, 정서적으로도 안정이 된다. 윤세창 서울삼성병원 정신과 교수는 “삶의 의욕이 떨어지고 절망적인 감정이 2주 이상 지속된 다면 병원을 찾아 의사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